계획대로라면 지난해 말 실시협약 이후 공사가 시작되면 롯데측으로부터 임대료를 받아 운영비로 사용할 계획이었지만, 실시협약이 늦어지면서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마케팅공사는 대전시로부터 35억3300만원의 예산을 지원받았다. 올해는 보유하고 있던 출연금 30억원을 모두 소진할 경우 68억원의 운영비가 부족해 시로부터 예산 지원을 받아야 한다.
지난해 대전마케팅공사는 엑스포과학공원 운영수입과 임대수입 등을 통해 122억8100만원의 수익을 올렸으며, 지출은 158억1500만원으로 35억3300만원의 적자를 냈다.
올해는 공원임대수입이 대폭 감소하면서 수입이 58억8000만원으로 줄고 지출될 예산은 160억600만원으로 늘어나 101억2600만원이 부족한 상태다.
시는 2014년부터는 한해평균 110억원의 예산 지원이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롯데와 실시협약 체결을 위해서는 엑스포과학공원내 위치한 일부 부지의 용도를 상업지구로 변경해야 하는 만큼 '서류상 절차'가 마무리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시협약도 불가능하다.
시는 사업목적이 특구와는 다른 엑스포과학공원의 활용을 위해서는 정부기관의 설득작업이 필요한 만큼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측의 상업지구 용도변경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면서, 대전시가 추진하던 엑스포과학공원 활용을 위한 연구용역도 중단된 상태다.
대전마케팅공사의 경우 공사출범 1년이 지났지만 수익구조가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경영평가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올해부터 경영평가를 받게 되면서 수익을 내기 위한 자구책 마련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마케팅공사 스스로도 말그대로 도시 마케팅을 위한 수익구조 창출과 역할을 찾아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엑스포 재창조 사업이 늦어질수록 문제는 한쪽에서 마케팅공사 운영을 위해 세금을 연간 100억원 이상 투입한다는 것은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