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기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
우리나라도 국민건강증진법에 의거, 제1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2002년)과 제2차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2005)을 수립해 시행한 바 있고, 현재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20)을 추진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시대에 맞게 평생건강관리체계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중요한 것은 건강과 질병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 보다는 연결선상으로 보아야 한다. 우리들은 건강군, 건강위험군, 질환군 어느 하나에 속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 세 가지 그룹에서 건강한 상태도 아니고 질병도 지니지 않은 건강위험군에 대한 관리가 문제가 되고 있다. 가령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의 경우, 혈압(130/85mmHg 이상), 비만(허리둘레; 남 90cm, 여 80cm 이상), 혈중 중성지방(150mg/dl 이상), 좋은 콜레스테롤(HDL-C; 남 40, 여자 50mg/dl 이하), 혈당(100mg/이 이상)의 5가지 중에서 3가지 이상이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이는 성인병으로 이환되기 전의 경계 수치로 기준이 잡혀져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건강위험군은 노력여하에 따라 건강군이나 위험군으로 이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의료비 지출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렇다면 건강위험군을 건강군으로 이환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 바람직한 생활습관(규칙적인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을 가지는 것이다. 규칙적인 운동은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큰 효과가 있다는 것이 이미 많은 보고서들에 의해 증명되었다.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치 경계에 있는 건강위험군은 규칙적인 운동에 의한 개선효과가 매우 크다.
그러나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에 의하면, 19세 이상 국민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실천율은 약 20%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투자한 재원이나 학계나 언론홍보의 계몽도 부족한 측면도 있지만, 지금껏 투자한 재원이나 계몽에도 불구하고 운동실천율이 그만큼 증가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국가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영양과 운동을 근간으로 하는 건강관리서비스법안을 국회에 발의(2010년)하는 등 문제의 핵심은 짚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어 통과되지는 못했다.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이라는 측면에서 국민의 생활습관에 대한 인식개선 및 실천유도를 위한 현실적인 대응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
생활습관개선을 위한 정책의 큰 그림은 그려져 있지만, 현실적으로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보건소의 건강증진(포괄)사업의 경우, 신체활동 사업이 핵심 중 하나이지만 현실적으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평소 건강관리에 소홀한 취약계층의 건강위험군은 지역 보건소를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생활습관 중 운동실천 유도를 위한 운동전문인력(광역시 단위 보건소당 1명)이 부족한데다 전문인력의 자격시비도 일부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시대에 맞는 헬스케어전문가를 양성하는 것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것이 어렵다면 각 분야의 기존 전문가들을 활용(재교육)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강군, 건강위험군, 질환군에 대한 영역없이 일직선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전문가를 말한다.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 질환중심이 아닌 생활습관의 변화에 초점을 둔 건강증진정책을 추진했지만 그간 성공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는 정부부처간 개별적으로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정부부처를 뛰어넘는 통합 건강관리체계 혹은 평생건강관리체계가 수립되기를 기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