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발생 건수는 다행히 늘지 않고 있으나 숲이 울창해지고 낙엽이 수북히 쌓여 대형산불로 번질 우려는 더 커졌다는 분석이다.
충남도와 대전시가 최근 3년간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의 원인과 시기를 분석한 결과, 주로 봄철에 등산객 등의 부주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요약됐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충남에서는 34건의 산불이 발생해 모두 20.2㏊의 산림이 훼손됐다. 2010년 7건에 0.69㏊가 소실됐고 2011년과 2012년에 각각 14건과 13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산불의 발생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17건으로 가장 많았고, 산림과 인접한 논과 밭을 소각하는 과정에서도 5차례 발생했다. 2월부터 5월까지 봄철에 산불이 집중돼 충남지역 3년간 산불 34건중 31건(91%)이 요즘 같은 봄바람 속에 발생했다.
대전지역에서도 최근 3년간 모두 8차례 산불이 발생해 모두 0.7㏊의 산림이 훼손됐다. 담뱃불과 산속 무속행위 등 입산자 실화부터 논밭두렁 소각과 어린이 불장난까지 산불의 원인이 됐다.
더욱이 대전지역에서 2003년 이후 발생한 산불 136건 중 92건(67%)이 봄철 3개월에 집중됐고, 입산자 실화가 가장 잦은 원인이 됐다.
이는 봄철이 다른 계절보다 강수량이 적고 맑은 날이 지속돼 건조한 낙엽 등이 많이 쌓여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산림녹화사업이 진행되면서 한번 발생한 산불이 재해성 산불로 번질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산림의 울창한 정도를 나타내는 평균 임목축적은 2000년 63㎥에서 2010년 126㎥로 증가해 산불의 연료가 되는 연소물질이 많아졌다.
또 낙엽도 깊게 쌓여 있어 한 번 발생한 산불이 더 거세지고 1차 진화 후에도 불씨가 다시 살아나는 등 완전 진화는 더욱 어려워지는 추세다.
때문에 입산을 자제하고 임도 개설 등 산불발생을 줄이려는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시 공원녹지과 관계자는 “산불 발생 건수는 감소추세라고 하더라도 한 번 발생하면 전보다 불길이 더 거세고 진화하기 어려워지는 게 현실”이라며 “산림 주변에서 흡연이나 논두렁소각처럼 산불원인이 되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해서는 안된다”며 협조를 당부했다.
임병안ㆍ방승호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