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선] 긍정적인 생각과 말이 인생을 변화시킨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정영선] 긍정적인 생각과 말이 인생을 변화시킨다

[목요세평] 정영선 혜천대 총장

  • 승인 2013-03-06 14:52
  • 신문게재 2013-03-07 20면
  • 정영선 혜천대 총장정영선 혜천대 총장
▲ 정영선 혜천대 총장
▲ 정영선 혜천대 총장
초·중 ·고 학생들이 가장 듣고 싶어하는 말은 '넌 할 수 있어!'라고 한다. 다음은 '너 성격 참 좋다!'와 '00야! 사랑해!' 순이었다. 교사들은 '선생님! 수업 완전 재밌어요!', '선생님! 고맙습니다!'를, 학부모들은 '애들 참 잘 키우셨어요!', '엄마(아빠) 사랑해요!' 라는 말을 듣고 싶어했다.

반면에 학생들이 가장 듣기 싫은 말은 '집에서 그렇게 가르쳤니?', '커서 뭐가 되려고 그러니?'이며, 교사들은 '아! 정말 짜증나!', '선생님! 업이 너무 지루해요!'라고 한다. 학부모들 역시 '엄마가 해준 게 뭐가 있어요?', '잘 알지도 못하면서~' 라는 말을 가장 듣기 싫어했다. 이는 충북도 교육청이 초·중·고 학생, 교직원, 학부모 등 1083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에 실시한 '학교언어문화 설문조사' 결과다.

미국의 유명한 설교가인 플톤 쉰 주교(Bishop Fulton J. Sheen)는 '한 마디의 친절한 말은 의기소침한 사람들에게 격려를 준다. 그리고 잔인한 말은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무덤에 가는 날까지 흐느껴 울게 만든다'며 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는 흔히 말은 그렇게 했지만 마음은 그렇지 않다고 한다. 그러나 이미 입 밖으로 나온 말은 영원히 주워 담을 수 없다. 어린아이가 언어를 배우는 과정은 부모, 가족, 친구가 하는 말을 듣고 열심히 따라하는 끊임없는 언어생활의 습관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릴 때부터 긍정적인 말을 하는 가정에서 자라거나 긍정적인 말을 하는 친구들을 사귄 아이들은 자라서도 긍정적인 언어생활을 하게 된다.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복음을 전하는 미국의 유명한 전도자인 빌 글라스(Bill Glass)가 발견한 사실은 우리에게 충격을 준다. 그는 미국 감옥에 수감되어 있는 전체 죄수들의 약 90%정도가 부모로부터 “너 같은 녀석은 결국 감옥에서 평생을 보내게 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말을 반복해서 들은 사람들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아름답고 긍정적인 말은 기적을 만들어 낸다. 물에게 '사랑' '감사' 등의 아름다운 말, 긍정적인 말을 들려주면 물의 결정체는 보석처럼 아름답게 생명체가 살아있는 육각수가 된다. 반면에 '밉다' '안돼' '죽일거야' 등 부정적인 말을 들은 물은 분자결정체가 파괴되고 보기에도 좋지 않은 모습으로 변한다. 사람 몸의 3분의 2는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은 우리가 하는 말을 듣고 있다. 부정적인 말, 욕설 등을 자주 마음속으로 하고 또 실제로 말로 표현하게 되면 사람의 몸과 마음은 병들게 되고 위축되며 감정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이어진다.

최근에 아파트 층간 소음문제로 일어난 이웃 간의 사건이나 아들이 부모를 폭행하거나 살해한 사건들은 하나 같이 부정적인 막말이나 욕설, 지적과 질책, 무시하거나 비하하는 등 감정을 절제하지 못한 말이 주원인이었다. 교육방송(EBS)이 2011년에 방송한 다큐프라임을 보면 요즘 우리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매우 거칠다. 학생들은 짧은 대화를 하면서 무려 400여 개의 욕을 쏟아냈다. 이들은 성적이나 품행이 평범한 학생들이고 대화의 주제 역시 평범하지만 욕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일상적으로 그리고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고 한다.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는 3월이다. 전국의 각급학교가 신입생을 받아들이고 한 학년씩 진급하면서 새로운 친구들과의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친구의 표정, 복장, 언어, 동작 등으로부터 첫인상이 형성되고 태도, 성격, 호의적 비호의적 관계 등을 지각해 가면서 상대 친구를 추측 판단하게 된다. 친구들과의 관계형성을 위한 요인들은 이렇게 다양하지만 결국은 내가 먼저 마음의 문을 열고 상대를 긍정적으로 신뢰해야 공감대가 형성되고 좋은 인간관계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 친구관계 형성은 대화로 시작하고 말은 곧 관계형성을 위한 도구가 되기 때문에 부정적이거나 저급한 말, 오염된 말을 버리고 긍정적인 말, 아름다운 말을 사용하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학교폭력이 빈번하고 감정조절이 잘되지 않는 사회적 현상, 사회구성원 간의 다양한 갈등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정과 학교에서 어린 시절부터 긍정적인 언어습관을 갖도록 가르쳐야 한다.

말의 힘, 말의 위력은 실로 놀랍다. 생각은 말이 되고, 말은 행동이 되고, 행동은 습관이 되어 삶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긍정적인 생각, 긍정적인 한 마디 말이 삶에 희망을 주고 인생을 변화시키며 나아가 사회문제를 치유할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