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
중국 고구려비 발견
중국 지린(吉林)성에서 고구려비석이 발견됐다.
2012년 7월29일 마셴강 인근에서 지안시 마셴촌에 거주하는 주민이 우연히 찾은 것으로 지안시 문물국에 뒤늦게 신고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고구려 시대에 만들어진 비석은 중국의 광개토대왕비, 충북 충주의 고구려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발건이다. 이 비석은 광개토대왕비의 일부와 유사한 내용이 담겨 있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얻고 있다.
학계는 이 비석을 광개토대왕비와 같은 고구려왕과 관련된 내용을 새긴 수묘비로 보고 있다. 발견된 중국 고구려비는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떨어져 나갔으며 높이는 1m 73cm, 너비 60.6~66.5cm, 두께 12.5-21㎝, 무게는 464.5kg이다. 비석정면에 예서체로 총 218개 글자가 새겨져있다.
이 가운데 판독이 가능한 글자는 모두 140자로 “시조 추모왕이 나라를 창건하리라(始祖鄒牟王之創基也)” “하백의 손자(河伯之孫)가 나라를 일으켜 (왕위가) 후대로 전해졌다” “연호(烟戶)를 배치해 사시(四時)로 제사(祭祀)에 대비케 한다” “부자가 묘 관리자를 함부로 사고팔 수 없다”는 구절이 새겨져 있다.
‘추모’는 고구려 시조인 주몽을 뜻하고, ‘하백’은 주몽의 외조부이자 ‘물의 신’으로 알려진 인물로 전체적으로 기존에 알려진 광개토대왕비문을 압축한 듯한 내용이다.
여호규 한국외대 교수는 16일 “우리 문화재청에 해당하는 중국 국가문물국이 발행하는 ‘중국문물보’가 지난 4일자 기사에서 고구려 비석 발견 소식을 보도했다”며 “이번 발견은 고구려사를 비롯한 한국 고대사학계의 획기적 사건”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국고대사학회 이사 윤용구 박사는 “광개토대왕은 선왕의 묘마다 비석을 세워 묘를 관리하는 주체를 분명히 했는데, 이번에 발견된 비석도 그중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뉴미디어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