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부지매입비가 2013년도 정부예산에 한 푼도 반영되지 않으면서 과학벨트 사업 전반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과학벨트 거점지구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 구축 사업, 과학벨트의 콘트롤타워인 기초과학연구원 건설뿐 아니라 거점지구 성과확산을 위한 기능지구 사업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
본보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부지매입비 0원’이란 시리즈를 상ㆍ중ㆍ하로 마련, 향후 추진될 중이온가속기 및 기초과학연구원 설치, 기능지구 사업에 대해 점검해 보았다.<편집자 주>
올 정부 예산에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부지매입관련 예산이 한 푼도 반영되지 않은 가운데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중이온가속기 건설은 기초과학연구원 건설과 맞물려 2017년 완공할 계획이지만 사업이 첫 단추인 부지매입비가 확보되지 않아 원만한 사업추진이 어려울 전망이다. 결국, 이명박정부가 시작한 과학벨트사업은 자칫 차기 박근혜 정부에서도 끝을 보지 못하고 차차기 정부로 넘어가는 험난한 일정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중이온가속기는 양성자보다 무거운 입자를 가속하는 장치로, 가속된 입자를 물질에 충돌시켜, 원자보다 작은 미시세계를 탐구하거나 물성 변화를 통해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등 기초과학과 의과학 등에 사용되는 중요 연구시설이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의 20%가 각종 가속기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했다는 사실에 비춰볼 때 중이온가속기는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특히 중이온 가속기는 성능 좋은 가속기를 누가 먼저 짓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려, 가속기사업이 늦어지면 국가적으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미 미국과 중국 등이 가속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이들 경쟁국보다 뒤늦은 가속기건설은 가속기연구시장을 빼앗길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는데 간단치 않은 문제이다.
중이온 가속기는 내년 4월까지 상세설계를 마치고 8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실시설계에 착수해야 하지만, 부지가 확보되지 않았다는 것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중이온가속기는 부지에 맞춰 배열이 진행돼 실제 가속기건물, 실험연구동, 검출기 테스트 시설 등 도입시설의 공간 배치를 지속적으로 보완해 가면서 설계를 수정해야 한다.
하지만, 부지 매입 예산이 확보되지 않으면서 가속기가 들어갈 가속기 터널과 가속기 건물은 현재는 백지상태이다.
가속기가 들어갈 건물이 없으면 장비 구매도 의미가 없다.
가속기가 들어설 부지는 암반 여부와 지하수 유무 등 지반조사가 필수적이고 이를 바탕으로 핵심시설인 가속기터널이 자리를 잡을 수 있어 무엇보다 부지확보가 중이온가속기 사업의 첫발이라 할 수 있다.
사업 일정이 늦어지면 상반기 중 이온가속기 실시설계는 물론 시제품제작과 장치개발 등에 올해 추진 사업들에 대한 일정도 늦어질 수박에 없다.
중이온가속기 사업단관계자는 “부지매입비 확보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부지가 확보돼야 과학벨트 사업이 원만하게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은남 기자 silver@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