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대전교육청은 그 어느 때보다 다사다난한 해를 보냈다.
학교폭력 문제에서부터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혼선, 수학여행 버스 사고, 집단 성폭행 가담 학생의 대입 특혜 의혹, 주민 반발에 부딪힌 학교 설립, 공립유치원 예산 삭감 등에 이르기까지 숨 가쁜 한 해를 보냈다.
2012년 시작은 침울했다.
연초부터 A 여고생의 자살과 곳곳에서 터져 나온 학교폭력 문제가 대전교육계를 엄습했다. 특히 학교폭력 문제는 상반기 내내 대전교육청의 역량을 시험대에 올려놨다.
3월부터는 주5일 수업제는 시행 초기라는 점에서 교육현장에서 적잖은 혼란이 일었다. 올해 내내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제도 정착을 위한 다양한 요구가 쏟아지기도 했다.
5월에는 우송중 수학여행 버스사고가 발생했다.
관광버스 업체들의 가짜 서류 등 잘못된 계약 과정을 학교 측에서 눈 감아주면서 관광버스 회사들의 배짱영업이 원인으로 드러난 사안이었다. 교육청은 계약 전반에 대해 일제 조사를 벌였고, 사법 당국은 현재까지도 '검은 거래'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7월에는 집단 성폭행에 가담했던 학생이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대학에 합격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일었다. 해당 학교는 이 학생을 '봉사왕'으로 추천한 사실이 밝혀져 교장과 교사 등이 중징계를 받았다. 학생은 해당 대학으로부터 입학 취소 통보를 받았고, 관련자들이 모두 고발되는 등 현재도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8월부터는 학교 설립 문제가 대전교육을 흔들었다.
상반기 대전용문학교에 이어 교육청은 대전1과학고와 대전국제중·고교 설립을 추진했다. 문제는 불통행정이었다. 사업 추진과정에서 지역주민과 학부모는 물론 5개 자치구청장과 대전시의원들까지 대전교육의 불통행정 문제를 강하게 성토하기도 했다.
국정감사 직후부터는 공립유치원 예산 삭감 문제가 연말을 뜨겁게 달궜다.
사태의 발단은 대전시의회가 법적 근거를 이유로 국가에서 내려주는 예산을 받지 않겠다며 관련 예산을 삭감하면서 촉발됐다.
이는 곧바로, 교원단체와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학부모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샀다. 연이은 성명 발표와 집회 등이 잇따라 열리면서 6000여명의 시민이 공립유치원 예산 원상회복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시의회의 독단이 계속되자, 정치권까지 나섰고 결국 의회는 상임위와 예결위에서 삭감한 예산을 본회의에서 원상회복하며 스스로 잘못을 인정해 사태는 일단락됐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