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의 기술사업화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공공부문 위주 기술공급과 기업수요간 부조화, 금융시스템 미흡, 우수 인력 유출 등이 지적됐다.
한국은행 대전ㆍ충남지역본부는 3일 황혜란 대전발전연구원 박사, 정형권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한국은행 대전ㆍ충남본부 김경근 과장이 공동으로 연구한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시스템' 현황 및 문제점 정책구현 방안을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이 집중돼 연구기관들의 기술사업화는 다소 부진해 기술사업화 촉진을 통한 창업 유도와 기업 경쟁력 제고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의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은 외환위기 이후 급속도로 증가한 후 2001년 감소추세를 보이다 2005년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벤처기업 수는 2011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56.5개로 경기도 64.8개, 서울 58개에 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다.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집약도 또한 타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 후반 지역 내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대기업 연구가 중심이 됐으나, 2000년대 초반 이후 출연연으로부터의 창업은 급감한 반면, 창업주가 근무했던 중소기업의 창업이 전체 53.5%를 차지해 대기업(19.9%), 공공연구기관(15.0%)으로부터의 창업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초기단계 기술과 원천기술의 공급이 상대적으로 많고, 공공부문 위주의 기술공급과 기업수요간 부조화가 발생하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원천기술 사업화를 지원하는 고위험ㆍ고수익형 금융시스템의 도입 초기로 기술기반 전문성을 갖춘 벤처캐피털리스트와 기업 경영자 간 협력관계 구축은 크게 미흡한 상황이다. 또 우수인력의 수도권 유출 구조가 지속돼 지역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체제가 미흡한 상태다.
정부 정책 또한 후속연구개발이나 시험ㆍ평가 등에 정책지원이 집중되고 사업화를 염두에 둔 기획활동, 기술탐색활동에 대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다.
한국은행 대전ㆍ충남본부는 이같은 네가지 측면의 문제점을 개선해 지역 내 기술 및 기업활동 특성을 반영, 기술사업화 시스템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