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유료 공영노외주차장에 대한 이용률이 낮아 정책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유성 궁동공영주차장의 텅빈 모습. |
수십억원을 들여 조성한 공영주차장 일부는 손에 꼽을 정도로 이용차량이 적고 공영주차장 주변은 여전히 불법주정차로 정책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에 찾은 대덕구 중리동의 51면짜리 노외공영주차장은 차량 7대가 주차돼 있었다. 주택가와 상가가 뒤섞인 중리동 공영주차장은 거의 비어 있었다.
반면, 주차장을 둘러싼 골목은 불법주정차 차량으로 뒤엉켜 있었다.
자리를 지킨 30분 동안 공영주차장에는 한 대의 차량도 들어오지 않았고 주차장 바로 인근 골목길에는 3대가 더 주차했다.
중리동 공영주차장 민간위탁자는 “골목에 주차할 수 있는데 누가 유료 공영주차장에 들어오겠나”며 “낮에는 손님이 없어 무료개방하는 셈이고 밤이 돼서야 요금을 조금 받고 있다”고 푸념했다.
중구 선화동의 113면짜리 공영주차장 역시 텅텅 비어 있기는 마찬가지였다. 이곳은 3층짜리 주차빌딩으로 중구에서 두 번째로 큰 공영주차장이지만, 이용률은 극히 저조해 하루 차량 40~50대에 주차요금 수입은 2만원을 넘지 않는다.
또 유성 궁동의 공영주차장은 예산 51억원을 들여 2006년 지상 3층에 194면 규모로 개장했으나 현재 하루 이용차량은 80~110대 수준이다.
주차장 한 면을 조성하는데 예산 2600만원이 들어간 셈이지만, 이를 이용하는 차량은 하루 한 대꼴도 안된다.
문제는 큰 돈을 들여 어렵게 조성한 유료 공영노외주차장 상당수가 이처럼 이용률이 저조해 기대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규모있는 공영주차장이 가까이 있으나 주차장 주변 골목은 여전히 불법주정차로 주민들의 통행여건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일부 공영주차장의 민간위탁자는 지자체에 2000만원에서 3억원까지 수탁료를 지불하고도 시설 운영을 사실상 포기하거나 보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대전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이정범 연구위원은 “주차문화는 공영주차장 공급과 함께 단속 및 계도를 함께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며 “공영주차장의 위치와 남은 주차 면수 등을 운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안내하는 시스템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