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사는 법] 신생아 황달

  • 문화
  • 건강/의료

[건강하게 사는 법] 신생아 황달

신생아 피부ㆍ눈 흰자 노랗게 변하는 증상… '병적 황달' 의심될 땐 초기치료 필수

  • 승인 2012-11-15 15:02
  • 신문게재 2012-11-16 13면
  • 김민영 기자김민영 기자
[건강하게 사는 법] 신생아 황달

▲임재우 교수
▲임재우 교수
갓 태어난 아이의 피부가 노랗다면 부모들은 적지 않게 당황한다. 황달 하면 간질환이나 비교적 중증질환에 나타날 수 있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생아 황달은 비교적 자주 나타나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경우 큰 문제는 없지만 경우에 따라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키는 핵황달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신생아 황달에 대해 건양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임재우 교수의 도움말로 자세히 알아보자. <편집자 주>

▲ 건양대 병원 임재우 교수가 신생아 황달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 건양대 병원 임재우 교수가 신생아 황달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신생아 황달이란=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해 신생아의 피부와 눈 흰자위의 색이 노랗게 변하는 것으로 생후 첫 주 내에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된다.

생리적 황달인 경우 생후 2~3일째 발견되고 1주일 안에 없어지지만, 생리적 황달이 아니고 심한 황달이 있을 경우나 2주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의 진단을 받고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한다. 심한 황달이 있을 경우에는 신경손상(핵황달)의 위험성이 있으며, 오랫동안 지속될 때에는 대개 모유 수유로 인한 경우가 많지만 간의 질환 및 그 외 여러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쉽게 지나쳐서는 안된다.

▲신생아 황달의 원인과 증상은 무엇=생리적 황달의 발생 원인은 신생아가 가진 태아 적혈구가 성인 적혈구에 비해 생존일이 짧아 빌리루빈 생성이 증가한 것과 신생아의 간이 아직 간에서 대사하기에 미숙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대개 생후 2~3일째 나타나고 5~7일 사이에 사라진다. 생리적 황달 이외의 것을 병적 황달이라고 하는데,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생하거나,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으로 높거나, 혹은 생후 10~14일 이상 황달이 지속될 때 그리고 직접 빌리루빈이 2mg/d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병적 황달의 원인 중 Rh 부적합은 엄마의 혈액형이 Rh 음성이고 아기의 혈액형이 Rh 양성일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심한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출생 초기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모유 수유아의 약 1~2%에서 생기는 모유로 인한 황달은 2가지가 있다. 조기 모유 황달은 생후 2일에서 4일 경에 수유량의 부족과 탈수 등으로 생리적 황달이 악화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치료는 모유 수유를 자주하여 수유량을 늘리는 것이다. 신생아 후기에 발생하는 모유 황달은 생후 4~7일께 시작되어 2~3주까지 황달이 심하고 이후 3주에서 10주까지 황달이 남아 있는 경우를 말하며, 2~3일간 모유 수유를 끊으면 황달의 호전을 가져오며 심한 경우 광선 치료가 도움이 된다.

황달의 증상은 아기의 피부색이 노랗게 되는 것이다. 보통 눈의 흰자위와 얼굴색이 노랗게 변한다. 만일 황달이 더 심하게 되면 몸통, 사지 및 발바닥의 피부까지 노랗게 되는 경우도 있다.

황달이 심하게 되어 신경계통에 영향을 주게 되면 아기가 잘 먹으려 하지 않고, 처지며 정상적으로 있어야 하는 모로 반사가 소실된다.

▲병적 황달 의심되면 병원 내원이 필수=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보이는 황달이 복부 중앙부까지 진행되어 병적 황달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여 혈청 빌리루빈 검사를 꼭 시행해야 한다.

병원에서는 혈액검사를 통하여 황달의 원인을 찾게 되는데, 보통 빌리루빈 수치, 혈액형 검사, 일반 혈액검사, 용혈에 의한 원인 검사(Coombs 검사) 및 간 기능 검사 등을 시행한다. 대부분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황달은 생리적 원인으로 치료가 필요 없으나, 병적인 원인의 황달이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합병증으로 혈중 빌리루빈이 뇌의 기저핵에 침착하여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핵황달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합병증 때문에 황달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핵황달이 되면 사망할 가능성이 있으며, 생존한다 하더라도 뇌성마비, 청각 상실 등의 심각한 후유증이 남게 된다.

▲예방은 어떻게=보통 자연분만을 한 경우에는 병원에서 2~3일간 입원 후 퇴원하게 된다.

이때가 보통 황달이 발견되는 시기로 경과 관찰을 집에서 하게 된다. 집에서 아기를 관찰할 때에는 되도록 밝은 곳에서 아기의 옷을 벗긴 후 피부를 살짝 눌려서 황달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는 생후 24시간 이내에 황달이 나타난 경우에는 혈청 빌리루빈 검사를 시행해 증가되어 있으면 용혈 질환에 대한 검사를, 그리고 생후 48시간 내에 조기 퇴원하는 경우에는 황달을 조기 발견하기 위하여 퇴원 후 2~3일내에 외래 방문을 권유한다. 이러한 조기 관찰은 재태 기간 38주 미만의 신생아에서 특히 중요한다. 생후 2주가 지난 경우에도 황달이 남아 있을 경우에도 진찰을 받아야 하는데, 보통 이 시기는 결핵 예방접종 때문에 병원에 내원하는 시기이므로, 이 때 소아청소년과 의사에게 황달에 대해 문의하는 것이 좋다.

치료는 보통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20mg/dL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를 위하여 황달이 위험 수준에 도달한 경우에는 병원에 입원하여 광선치료 혹은 교환수혈을 하게 된다.

임재우 교수는 “모유 황달인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2~3일간 모유를 중단한 후 황달의 변화를 관찰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며 “담도 폐쇄로 진단이 되었을 때에는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수술적 치료가, 간염으로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내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대 청년들 숨진 금산 금강 유역…지난 달 이어 익사사고 반복
  2.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 위해 350만 원 후원
  3. 대전 서부경찰서 "공중화장실 경보등 울리면 112신고 해주세요"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굿네이버스 대전충북사업본부-ETRI아이나무어린이집, ESG 시장놀이 수익금 전달
  1. 한국자유총연맹 대전시지부, 이달의 자랑스러운 회원 시상
  2. 한국영상대학교 '특별한 졸업전시회' 취업문 노크
  3. 중학교 동창들과 금산서 물놀이하다 수심 3m 빠진 20대 4명 사망 (종합)
  4.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새싹등교지킴이' 소양 교육
  5. KH한국건강관리협회, 화물복지재단과 업무협약 체결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