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써 조성한 공영주차장이 대부분(73%) 무료로 운영되면서 일부 운전자 차량에 독점되고, '주차는 공짜'라는 교통문화가 개선되지 않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달 말 대전 5개 구청의 교통과장과 간담회를 하고 기존 무료 공영주차장을 유료로 전환하는 정책에 의견을 주고받았다. 무료주차장 조성을 자제하고 기존 주차장도 유료화로 전환해 승용차 등의 자가용이 도심에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대전 시내권의 주차장 조성과 예산을 보면 2009년 신탄진 공영주차장 41면을 조성하는데 16억원이 소요됐고, 중구 오류동에 24면의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는데 17억원이 들었다.
주차장 1면을 만드는데 4000만~7000만원이 들어간 셈이다. 이렇게 조성된 공영주차장 576곳 중 484곳이 무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공영주차장 3만1463개 주차면중 8483개 주차면만이 유료로 운영돼 공영주차장의 유료화율은 27% 수준이다.
이때문에 일부 무료 공영주차장에서는 짐을 쌓아놓고 독점 사용하거나 개인 소유의 주차장처럼 장기간 주차시켜 대다수 운전자들이 이용할 수 없는 문제를 낳고 있다.
또 대전에 등록한 차량대수와 주차면수를 비교한 주차장 확보율이 지난 6월 말 기준 87.3%까지 올라간 것도 유료화 전환의 동기가 되고 있다.
이에따라 서구는 만년ㆍ탄방동 선사유적지 무료주차장을 유료로 전환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있으며 대덕구도 법ㆍ읍내동 지역의 35면 무료 주차장을 유료로 전화할 계획이다.
반면, 주차장의 규모가 작은 곳까지 유료화하기 어렵고 불법주차만 양산한다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대전의 공영주차장 576곳 중 100면 이상의 대형주차장은 전체의 11%에 불과하고 49면 이하의 주차장은 71%로 다수가 주차 요금을 받기에 규모가 영세하다.
공영주차장의 유료화가 가뜩이나 심각한 이면도로의 불법주차 문제를 더욱 부채질할 우려도 사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심에서 교통수요를 억제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전환이 필요한 시점이고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해 공영주차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도 마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