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히려 지금 더 긴요한 것은 금강하구 생태계 복원 대책 수립이다. 금강의 관문인 금강하구가 지닌 생태적 가치를 생각할 때 이 같은 우선순위가 더 명백해진다. 준설토 처리 문제 역시 지속가능한 대안부터 찾아봐야 한다. 대책 없는 해상도시 조성은 환경재앙을 부를 뿐이다. 서천은 물론 군산의 상생이 걸린 문제다.
해상도시 건설은 그동안 추진해 오고 있는 습지보호지역 지정, 연안 정비, 연안갯벌 복원 등의 사업을 한꺼번에 무위로 돌릴지도 모를 사업이다. 충남도의회 결의안에서 지적한 것처럼 금강하구에 들어서는 국책시설로 해양환경이 점점 무너지고 있는 중이다. 매립지 활용 방안에 '결사 반대'를 외치는 이유를 직시해야 할 것이다.
해상매립지 개발로 해안 환경, 금강 환경을 저해해서는 안 된다. 특히 갯벌 매립 불가 정책으로 장항산단을 포기하면서까지 생태계 보전에 공들인 서천으로서는 준설토 투기장인 해상매립지 개발 용역은 더욱 수용하기 힘든 일이다. 금강하구의 종합복원대책을 놓고 '백년대계'를 주장하는 입장은 조금도 틀리지 않다.
친환경 대안을 수용한 서천군민의 협약정신은 당연히 존중돼야 한다. 앞으로 용역 사업의 진척에 따라 실제 건설 저지 행보는 거세질 전망이다. 해상도시를 저지하는 이유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군산항을 보호할 목적의 도류제와 방파제로 갯벌 훼손도 가속화되고 있다. 서천-군산의 상생 또는 균형발전 요구를 새겨듣지 않으면 안 된다.
지역주민의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사업이라면, 또 그것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라면 주민 요구대로 전면 철회하는 것이 합당하다. 침수와 적조 피해, 항구 기능 상실 등의 우려를 접어둔 채 준설토 투기장 활용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앞뒤가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시급한 것은 친환경 종합보전과 발전계획이지 해상도시가 아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