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아쿠아월드가 법원 경매에서 주채권자에게 87억원에 낙찰됐다는 소식에 지역에서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월급도 받지 못한 채 시설을 운영해온 직원들은 정상화에 대한 불확실함에 공황상태이며 주변 상인들도 행정기관을 상대로 소송제기를 본격화하고 있다.
15일 찾은 대전아쿠아월드는 사람 발길이 끊긴 수족관 속에서 물고기들은 생명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었다. 수족관에 앞서 둘러본 주차장과 상가는 지난 수개월 관리되지 않아 쓰레기와 오물이 곳곳에 널려 있었고 문 닫은 식당에서는 악취까지 풍겼다.
대전아쿠아월드의 수족관은 회사가 지난 2월 사실상 폐업을 한 후에도 아쿠아리스트 등 직원 13명이 남아 2700t 규모의 수족관을 관리한 덕분에 최소한의 현상유지는 이어가고 있었다.
피라루크 등 수족관에 남은 희귀물고기에 먹이를 주거나 시간에 맞춰 물고기가 잠에 들거나 깰 수 있도록 조명을 조절하는 것도 생명유지에 중요한 과정이다.
회사차원의 재정적 지원이 전혀 없는 가운데 현재는 수족관의 물고기가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대전시가 대전아쿠아월드 경매에 참여하지 않았고 시설을 직접 운영할 수 없는 기존 채권단이 낙찰받았다는 소식에 이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는 듯 했다.
대전아쿠아월드의 한 직원은 “지난해 6월부터 월급을 받지 못해 생활이 어려워도 수족관을 버릴 수 없고 시가 나서주면 정상화될 수 있다는 기대에 남아있었다”며 “아쿠아월드가 언제 정상화될지 불확실한 상태여서 직원들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변 상가들 역시 경매 낙찰 소식에 적잖이 당황하며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주채권자와 시설인수를 협의한 것으로 알려진 외국계 기업은 국내 수족관 실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대전아쿠아월드가 언제 정상화될 지 걱정부터 앞섰다. 또 분양대금 반환 민사소송에서 승소한 44개 분양상가 상인들도 시의 경매 불참소식에 시를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중구 대사동의 한충복(55) 씨는 “적당한 시기에 시가 매입하리라 믿던 주민들은 민간기업에 시설을 넘겼다가 제2의 아쿠아월드 사태가 오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임병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