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은 그래도 낫다. 권역응급의료센터인 충남대병원을 비롯해 응급의료센터와 의료기관 대부분이 인력과 시설을 갖추고 있고 의료기관 단 한 곳만 법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하지만 충남은 응급의료센터 1곳과 응급의료기관 15곳 중 8곳이 기준에 미달됐다.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을 제외하면 절반 이상이 기준에 미흡하다. 군단위에 응급의료기관이 한 곳도 없어 사각지대에 놓인 곳도 있다. 응급환자 발생시 ‘초기 10분’이 생사를 가르는 점을 감안하면 안타까운 일이다.
아마 인력부족이 미충족 판정을 받은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시설이야 정부의 지원을 받아 확충한다지만 지역 병원이 진료과별 전문의로 24시간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만큼 인력을 확보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엄청난 인건비 부담이 걱정인 중소병원의 사정은 더욱 딱하다. 그러잖아도 경영난을 겪는 상태에서 응급실 운영을 중단하는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를 일이다.
응급의료 체계 개선은 바람직하고 시급한 일이다. 하지만 영세한 지역 응급의료기관이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법정기준을 갖추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전문 인력과 일정장비의 24시간 가동체제를 구축하려면 고정비용 부담이 너무 버겁기 때문이다. 시설 확충도 중요하지만 당장은 의료인력 확보가 급하다.
특히 농어촌 지역을 담당하는 의료 인력에 대해서는 특단의 지원을 해줄 필요가 있다. 응급의료에 정부가 관심을 갖고 지원책을 강구해야 하는 이유다. 충남도도 응급의료체계에 허점은 없는지 다시금 점검해보기 바란다. 촌각을 다투는 환자와 그 가족들의 심정을 헤아려보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