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과 함께 응급환자의 전문적인 처치와 의료상담 강화를 위해 의사 상담을 의무화 하고 있지만, 공중보건의 감소와 상담 의사의 불안정 고용 등으로 의사 수급이 불안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대전은 서울, 울산, 부산과 함께 119 통합상황실과 1339 상담사무실을 통합했다. 대전의 119 통합상황실에서는 대전을 비롯한 충남, 충북, 세종지역까지의 응급환자 상담을 전담하는 역할을 맡게 됐다.
대전 119는 현재 공중보건의 3명이 오전 9시부터 저녁 9시까지 의료상담을 맡고 있다. 저녁 9시이후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는 충북, 충남 등 지역의 병원 응급의학과 의사 14명이 '시간제'로 상담을 하고 있다.
전담의사를 구할 수 있는 예산이나 여건이 마련돼 있지 않자 임시 방편으로 현직 응급의학과 의사들에게 소위 '아르바이트'를 요구한 것. 현직 의사들이 하룻밤 상담 당직을 서고 받는 돈은 50만원. 한달에 2번꼴이라고 하지만 본연의 응급실 근무가 있기 때문에 다소 부담스러운 아르바이트가 아닐 수 없다.
현재는 충북지역의 한 병원과 협약을 맺고, 대전의 종합병원에서 의사들이 상담을 해주고 있지만, 이같은 임시 방편 시스템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는 쉽지 않다.
지금은 이같은 방식의 운영이 유지되겠지만, 문제는 공중보건의들이 제대하는 내년 4월부터다.
공중보건의 부족으로 광역시 단위의 공보의를 철수 시키기 때문에, 더이상 배치인원을 기대하기 어렵다. 낮시간대의 응급의학과 의사를 조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제 형태의 의사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지금까지 지원했던 50만원의 기금 역시 전액 국비로 응급의료기금을 확보해야 하는만큼 내년도 예산 편성 역시 미지수다. 이같은 현상은 대전뿐 아니라 광주, 울산 등 전국적으로 비슷한 상황이다.
지역의 응급의학과 의사는 “대전을 비롯한 지역의 중소병원들의 응급실은 여유 인력 없이 빠듯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한달에 2번정도 외부 업무를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이럴 경우 자신의 병원 근무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전시 소방본부 관계자는 “지역에서도 의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공보의 제대 이후가 더욱 우려된다”며 “정부의 응급의료기금 확보 등 응급의료학과 전문의 운영은 오는 11월께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는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당직 의료기관 안내와 응급조치 상담 등을 했던 기관이며 15년동안 운영해오다 이번 119 통합으로 내년 6월부터 번호 자체가 사라진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