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시점에서 얼마나 진정성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유보할 수밖에 없다. 세종시를 포함한 범충청권 유권자들에 맡겨진 몫이기도 하다. 대덕특구를 품에 안은 충청권은 후보자들이 강조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는 과학기술 메카로 불러도 손색 없을 만큼 성장했다. 오창~천안·아산~대덕특구를 잇는 IT밸리가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각광받기도 한다.
하지만 신성장 동력 기지의 역량과 노하우를 갖추고도 국가 전체의 성장 동력으로서 최적, 최상의 확실한 과학기술 메카의 반열에 오르기엔 상당한 거리가 있다. 강화되고 집중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게다가 세종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이면서 대덕특구와 첨단의료단지 등과 연계하는 과학도시의 성격도 지녀야 한다. 이미 보유한 선진 과학기술 노하우에 지리적 이점을 가미해 세계적 연구개발(R&D) 거점을 만들 때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경선 후보들의 약속대로 실현되려면 수도권과 대비되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충청권을 만들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충청권은 대한민국의 중심이다.’ 이 말 역시 충청권 역할론의 구체화 없이는 수사적인 나열일 뿐이다. 알다시피 충청인들은 지난 대선 때의 과학벨트 공약이 좌절될 뻔한 씁쓸한 경험도 공유하고 있다.
과학벨트에 ‘과학기술의 메카 충청’의 새로운 씨앗이 싹트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정부세종청사, 정부대전청사를 중심으로 한 행정, 그리고 대덕, 오송·오창, 천안과 아산 등의 과학이 어우러진 경제 허브로서도 시너지를 내야 한다. 다른 측면에서 국방 관련기관이 밀집한 충남은 국방의 메카를, 대전은 철도 메카를 넘볼 만하다. 대전은 또 HD 드라마타운 조성으로 첨단 영상도시 육성을 꿈꾼다. 이러한 가능성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역대 정권은 충청권을 과학기술의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심지어 세종시 수정안 정국에서도 이 표현은 통했다.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 후보들도 새누리당 후보들과 비슷한 공약을 하고 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누가 대선 후보가 되든 충청권의 주요 공약이 될 게 확실시된다. ‘과학기술 메카’는 충청권이 대표적인 캐스팅보트 지역임을 의식한 ‘립서비스’가 아닌, 과학기술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진중하게 강조한 말이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