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지난해 서해안의 연평균 표층 수온이 1968년보다 1.24℃ 상승한 14.6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심 50m저층 수온은 같은 기간 0.4℃낮아져 9.77℃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해수산연구소는 40년간 1℃ 내외에 불과한 수온변화로 서해 어획고의 판도에 큰 변화를 가져와 표층 수온 상승으로 멸치와 참돔 등 연안 난류성 어종은 증가하고 저층 난류성 어류인 갈치와 갯장어는 크게 줄어 들었다.
특히 멸치는 1990년 2500t에서 지난해 2만7300t으로 11배가 증가하고 참돔도 같은 기간 8t에서 42배 증가한 336t의 어획고를 올렸다.
이에 비해 서해안에서 많이 잡히던 갈치는 1990년 2만7000t에서 지난해 760t으로 줄어들고 갯장어는 같은 기간에 440t에서 불과 1t에 불과해 갯장어 조업이 중단되고 있다.
또 서해안의 기후 변화는 서해 대표 어종인 꽃게의 크기와 어획량에도 영향을 줘 1990년 1만5300t에서 2004년에는 2300t으로 급감했다가 지난해 2만 4000t으로 회복하고 암컷 크기는 같은 기간 14.6㎝에서 12.1㎝으로 준 것으로 나타났다.
서해수산연구소는 꽃게는 어획량이 급격히 줄었다가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치어방류 등으로 회복했는데, 꽃게 크기가 작아진 것은 갑자기 개체가 늘면서 먹이 경쟁이 심화돼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온의 변화로 인해 최근 수년간 겨울에는 한파로 바지락과 전복 등 패류들의 대량 폐사가 나타나고 여름에는 우럭(조피볼락)의 폐사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서해수산연구소 관계자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변화로 서해안에서 잡히는 어종들의 변화에 따라 어민들의 조업도 변하고 있다”며 “서해안에서도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어종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태안=김준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