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전체 농산물 시장에서 차지하는 로컬푸드 유통 구조와 비중을 생각할 때 단지 캠페인성에 머무는 아쉬움이 있다. 마케팅 측면에서는 대형마트뿐 아니라 백화점, 기업, 음식점 등 어디든 수요처를 늘린다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협약서의 '동반성장' 표현처럼 지향점은 생산자와 소비자, 유통업체 모두에 도움되는 방향이어야 한다.
무엇보다 협약이 협약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아산의 경우는 협약과 동시에 구매, 판매단계까지 가능하다니 실행 초기 단계의 걱정은 일단 덜게 됐다 한다. 이에 만족하지 않고 지역경제 활력 효과까지 거두려면 다양하고 체계적인 실행 방안이 요청된다. 특히 생산자 및 소비자 조직화와 추진 주체들의 활발한 정책 연계가 필요하다.
달리 표현해 아산시에서도 밝힌 생산자와 소비자의 네트워크를 중시해달라는 뜻이다. 당진 롯데마트에 입점한 지역 농산물 로컬푸드 상설매장, 아산의 지역 내 직거래장터인 목요농민장터 등도 한 방법일 수 있다. 대형마트뿐 아니라 중소형 마트, 전통시장, 동네슈퍼 등이 폭넓게 판촉 대상이 돼야 한다.
진정한 로컬푸드 시스템을 소박하게 정의하면 가족 소농들이 다품종 소량생산한 농산물을 지역 소비자에게 팔 수 있는 시스템이면 된다. 하지만 안정적인 농가소득 체계를 꾀하려면 대형 판매장을 외면할 수 없다. 아산의 경우 협약이 실현된다면 이마트 충청지역본부 산하의 천안, 아산 등지에 일괄 입점ㆍ판매 가능한 대형 거래처가 확보되는 셈이다. 파급력 면에서 또한 놓칠 수 없는 활로는 학교급식이다. 지역 기업들도 소비에 앞장서줘야 한다.
개념적으로 우리 신토불이와 비슷한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 운동, 캐나다의 농민장터 등의 선진 사례는 그리 멀리 있는 게 아니다. 제철 채소 중심의 꾸러미(박스) 운동, 충남발전연구원에서 추진한 지역 농산물 사용 식당 인증제인 '착한 식당' 찾기, 로컬푸드에 기반한 음식관광 활성화 등은 시도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 업무협약이 성공해 로컬푸드 시스템이 정착하고 지역 농산물 소비의 선순환 모델을 이루려면 지역민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