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롯데월드가 밝힌 쇼핑시설은 '문화수익 시설'로 명칭했으며, 부지 6만6000㎡의 연면적 10만7366㎡으로 중구에 위치한 세이백화점 정도의 규모다.
롯데월드측은 문화와 예술이 복합된 신개념 수익시설이라고 밝혔으나 수익을 담당하게 될 패션관이나 디지털 파크, 과학기자재 전문점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규모나 비율, 어떤 내용의 브랜드가 입점하는지 밝히지 않았다. 다만 백색가전이 아닌 첨단 소형 가전이고, 패션이 전부가 아닌 전체 시설의 22%를 문화공간을 담은만큼 신개념의 복합 쇼핑 공간이라고 밝히고 있다.
쇼핑시설에 대해 롯데쇼핑 신원 대표는 “대전시민들만 위한 개발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를 위한 개발이다. 국내 일본 관광객 보다는 중국 관광객들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판매시설을 계획하고 있다”고 포괄적인 개념만을 제시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는 자금의 역외 유출은 상당히 우려되는 부분이다.
때문에 대전지역에 별도 법인을 설립하거나 본사 중 하나를 대전으로 옮길 계획은 없는지 묻자 롯데 관계자는 “통합법인 내에서의 유기적 제약 요인이 있다”고 사실상 불가함을 내비쳤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쇼핑몰이 지역자본의 역외 유출 부작용이 있지만, 대전시민 뿐 아니라 외국, 외지에서 오는 사람들에게 판매를 하는 것”이라며 “외지에서 관광객이 오면 테마파크도 오지만, 지역의 식당도 가고 택시도 타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추가 설명했다.
수익시설이 들어서기 위해서는 자연녹지인 이 지역을 상업용지로 용도 변경도 해야한다.
아직까지 롯데복합테마파크에 대한 임대료 논의가 구체화 되지 않고 있지만, 최소 100억원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상업용지로 용도변경까지 할 경우 6만6000㎡(2만여평)에 대한 쇼핑 시설 하나만 들어서도 '대기업 특혜'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이 지배적이다.
이날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는 성명을 발표하고 “롯데측과 MOU를 체결한 직후 대규모 유통시설로 인한 지역상권 붕괴와 중소상인들에 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시민 의견을 졸속으로 수렴해 결정한다면 또 다른 소통의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더 큰 행정 불신과 책임을 야기하게 될 것임을 경고한다”고 밝혔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