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에 사람이 모이고 있다. 도시 생활에 지친 이들이 제2의 인생을 기대하며 농촌으로 발걸음을 옮기고 있는 것이다. 고령화로 생기를 잃어가던 농어촌은 젊은 사람들이 늘어나며 활력을 되찾고 있다. 지자체도 모처럼 찾아온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만들어 이들의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3농혁신의 희망으로도 떠오른 귀농귀촌의 현주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금산 금성면 두곡리, 야산으로 둘러싸인 한 작은 마을. 이곳은 불과 5~6년전 만해도 사람이 살지 않는 땅이었다. 사람이 겨우 지나다닐 정도의 길 밖에 없어 농사짓기도 어려운 곳이었지만 귀농인들이 하나둘 정착하면서 현재는 6~7 가구가 모여사는 마을로 변했다.
이들은 금산의 특작물인 깻잎을 재배하면서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6~7가구가 모여 삶의 의지를 불태우다보니 마을 모습도 바뀌었다. 불가능할 것이라 여겼던 일을 귀농인들이 해내면서 기존 지역 주민에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는 것이다. 처음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던 마을 주민도 1년에 1~2차례 함께 마을 축제를 벌이며 활력을 보태고 있다. 귀농ㆍ귀촌인구가 늘어나면서 농어촌이 활기를 띠고 있다.
충남도에 따르면 2005년 2103가구이던 귀농ㆍ귀촌 인구는 2007년 2444가구에서 2008년에는 2671가구, 2009년 3006가구, 2010년 3330가구로 증가했다.
매년 200~300가구가 충남으로 귀농ㆍ귀촌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들 가운데 95%는 농촌 생활을 계속 영위할 만큼 높은 정착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1990년대 후반 IMF로 인해 증가한 귀농인구가 대부분 다시 도시로 빠져나간 것과 대조적이다.
실제 충남도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귀농ㆍ귀촌한 562가구를 조사한 결과 단 20가구만 정착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패 원인으로는 귀농ㆍ귀촌 인구에 대한 지원 부족을 이유로 꼽은 가구가 5곳으로 가장 많았다. 또 지역민불화를 원인으로 꼽은 곳이 3가구, 자녀교육ㆍ영농실패ㆍ본인 사망 등이 각각 2가구 뒤를 이었다.
귀농ㆍ귀촌을 꿈꾸는 도시민이 늘어나면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도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귀농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귀농ㆍ귀촌 종합대책을 마련, 추진 중이다. 귀농ㆍ귀촌희망자를 대상으로 맞춤식 지원을 펼치기 위해 귀농인의 단계별 요구에 맞는 지원을 펼치고 있다.
이를 위해 초기 단계에서는 귀농을 희망하는 도시민에 귀농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제공 및 맞춤 상담교육, 귀농인의 집 체험 등을 지원하고 귀농을 결정한 뒤에는 주택 및 농지 알선, 컨설팅, 창업자금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 이같은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귀농귀촌 종합센터(www.returnfarm.com)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지자체도 각종 지원책을 마련해 도시민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천안시 등 10개 시ㆍ군에서는 이미 귀농인 조례를 제정해 귀농 지원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조례가 마련돼 있지 않더라도 이미 16개 시ㆍ군에는 귀농지원센터가 설치돼 귀농인 상담, 지원시책 소개, 교육안내, 귀농정보 제공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전체 농어업 인구 중에 귀농인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는 않지만 귀농인구가 농어촌의 새로운 활력소로 자리잡고 있다”며 “귀농귀촌 인구가 기존 농어촌 사회와 어울려 새로운 희망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시우 기자 jab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