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화 우송대 스포츠 건강관리학부 교수 |
식욕부진증의 진단 기준은 신장이 160㎝ 정도일 경우는 41㎏이하, 155㎝라면 38.5㎏ 이하, 150㎝라면 36㎏ 이하의 체중일 경우라 한다.
환자들의 경우 초기에는 어느 정도 높은 강도의 운동을 견딜 수 있지만 시간이 경과되면 될수록 무리한 감량으로 더 이상 근력이나 지구력이 증가하지 않으며 운동으로 인한 손상을 입기도 하지만 운동을 강하게 하면 체력이 증진되고 아름다운 몸매가 된다는 잘못된 생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심리적 불안이 지속되어 적은 식사량과 과하게 운동을 하면 얼굴이 창백해지거나 추위를 느끼게 되며 부정맥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변비, 피부 건조증, 어지러움, 불면증, 무월경, 골다공증으로 인한 척추 후만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환자의 증상이 심하여 지속되면 간기능과 신장기능이 저하되며 의식을 잃거나 혼수상태로 이르러 생명이 위험하게 될 수 있으므로 무조건 식사량을 줄이며 운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
섭식장애 환자들은 혼자 운동을 하는 것보다는 집단 운동을 하여 동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상호 운동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치료적 운동을 위해서는 이에 따른 적절한 식습관과 운동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환자들은 체중이 과도하게 저하되어 있으므로 근육량이 적어 호흡에 필요한 횡격막의 운동에 제한이 있고 호흡근인 늑간근이 발달되어 있지 않으므로 흡입하는 능력이 낮다. 따라서 준비운동 시에는 어깨, 허리, 다리 부위의 스트레칭 체조를 하는 경우에도 호흡에 신경을 쓰며 되도록 시간을 길게 해야 한다. 또한 근력증진 기기와 치료밴드, 모래주머니, 아령 등을 이용하여 복부와 대퇴부, 아킬레스건 부위의 근력을 향상시키면 근육이 비대되고 골반의 뒤틀림을 막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 주므로 반드시 근력증진 운동을 해야 한다.
호흡기능의 개선과 심장기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편안한 기분으로 고정식 자전거, 빨리 걷기, 볼링, 조깅 등의 운동을 30~40분 정도 하면 운동으로 인한 피로를 느끼지 않아 일상생활을 편안히 할 수 있으며 혈중의 노에피네프린이라는 호르몬의 수치가 상승되어 불안감이 완화되므로 항불안제를 투여한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운동을 혼자하면 운동일기를 작성하여 의사와 상담을 하며 동료들과 운동을 함께하는 경우는 운동을 마치면 운동으로 인한 좋았던 점과 개선해야 할 점 등을 이야기하여 올바른 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송대 스포츠건강관리학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