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중인 대전시 푸른도시과장 |
도시공원이란 도시지역에서 도시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의 건강ㆍ휴양 및 정서생활을 향상시키는 데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 또는 지정된 도시계획시설로서, 공원종류로는 생활권공원에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이 있고, 주제공원에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묘지공원, 체육공원 등이 있다.
우리시에는 현재 603개소에 5217만8000㎡의 도시공원이 있는데, 이는 1989년 광역시 초기 91개소에 944만5000㎡ 였던 것이 도시의 발달로 인해 무려 5.5배나 늘어나게 되었다. 도시공원이 급격히 증가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도시기능이 팽창되었다는 결과일 것이다. 또한 이는 그만큼 공원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시에서 직접 관리하는 보문산, 세천, 가양비래, 계족산공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자치구의 공원녹지부서에서 관리하고 있는데 늘어나는 공원에 비해 관리가 뒤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앞으로 정부와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수 많은 도시공원을 관리하는 일이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시민의 삶의 질을 위하여 도시공원의 확대는 불가피한 일이며, 도시공원이 확대될수록 관리비용과 인력 등 모든 측면에서 시민참여와 민간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선진국에서는 일찍부터 시민이 참여하여 관리하는 민관협치(거버넌스) 방식에 의해 도시공원이 관리되고 있다.
미국은 컨서번시(공원 시민보전단) 운동이 활발하며, 대표적인 것이 뉴욕의 센트럴파크컨서번시로 대부분의 공원에 시민모임이 조직되어 공원운영 재정의 일부를 지원하면서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숲을 보전하는 트러스트 운동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그린플래그(Green Flag) 운동을 통하여 주민참여에 의한 도시공원의 질적 관리를 도모하고 있다. 일본 역시 지정자 또는 민간관리제도를 통하여 도시공원에 시민파트너를 지정하고, 지속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시울시의 서울그린트러스트운동, 광주 푸른길가꾸기운동, 청주 원흥이 방죽 시민참여운동 등 다양한 형태의 시민참여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우리시에서도 이러한 공원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참여가 절실한 실정으로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책임관리제를 도입하여'내동네ㆍ내공원가꾸기'사업을 운영해오고 있다. 그 명칭의 의미를 살펴보면'내'라는 참여의 주체에 '동네'라는 커뮤니티 개념과 '공원'이라는 쾌적한 휴식공간의 개념이 어우러져 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연간 347개 기관 및 단체와 협약을 맺어 추진하고 있는데, 민관협치행정의 모범적인 사례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물론, 시민참여형 도시공원 기꾸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지역주민의 참여는 더욱 그렇다. 앞으로 '내동네ㆍ내공원가꾸기'사업은 시민참여의 수단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도시의 목표로 시민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만 가능한 사업이다.
따라서,'내동네ㆍ내공원가꾸기'사업이 우리시 민관협치행정의 모범적인 사례로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 앞으로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이 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도시공원을 관리하는 일이 행정주도가 아닌 민관협력의 시대로, 그리고 마침내 시민주도의 시대로 진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