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된 세계 경기 침체가 국내 소비심리 위축으로 이어져 개선되지 않고 있다.
물가 오름세는 소폭 완화되고 있지만, 경제 성장세 둔화와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 확대 등으로 소비심리 부진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둔화로 소득 개선은 미흡한 반면, 원리금 상환부담 확대로 구매력이 제한되면서 소비심리 부진이 지속되는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소비자가 체감하는 현재와 미래의 생활형편, 경기상황, 내구재 구매태도 등이 고려된 올 2분기 소비자태도지수를 조사한 결과, 전 분기(44.2)보다 2.4p 상승한 46.6을 기록했다.
하지만 소비자태도지수는 2011년 1분기 이후 6분기 연속 기준치(50)를 밑돌고 있다.
모든 소득계층의 소비심리가 전 분기보다는 소폭 개선됐지만 부진한 소비심리는 수치상으로도 확인되고 있다. 이는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는 등 물가불안이 다소 진정되면서 소비심리 개선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분기 소비자태도조사 결과, 모든 소득계층의 소비자태도지수는 전 분기보다 상승했다.
소득계층별로는 소득 중간계층인 2분위(46.8), 3분위(46.8), 4분위(46.8)의 소비자태도지수가 전 분기보다 각각 2.8p, 3.0p, 3.0p 상승하면서 전체 지수의 상승폭(2.4p)을 상회한 반면,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소득 5분위(47.7)의 소비자태도지수는 전 분기보다 1.1p 상승하는데 그쳤다.
현재 및 미래 경기 관련 지수는 상대적으로 크게 개선됐지만, 현재경기판단지수는 여전히 기준치(50)를 밑돌고 있다.
소비자태도지수의 하위 구성지수별로 현재경기판단지수(32.8)와 미래경기예상지수(52.2)는 전 분기보다 각각 4.0p, 6.1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3월 경기선행지수가 전월과 같은 98.8을 기록, 4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인 지난 3월 중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보다 0.4p 하락한 99.6으로 올 들어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현재생활형편지수(46.2)와 미래생활형편지수(53.8)는 전 분기보다 0.5p 하락하며 5개 하위 구성지수 중 유일하게 전 분기보다 하락했다.
앞서 언급된 미래경기예상지수 상승 중 향후 경기회복을 예상하는 가장 큰 원인은 막연한 기대감인 것으로 해석됐다.
1년 후 경기 회복을 기대한 비율은 36.1%로 언론의 긍정적인 보도 등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또 대내외 경기의 상ㆍ하방 리스크 상존, 국내외 금융시장 불안감 해소 지연 등 향후 경기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되고 있다.
향후 경기 악화의 가장 큰 이유로는 46.6%가 물가 상승률을 지목했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심리적 상황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소비지출지수(46.2)와 미래소비지출지수(50.9)는 소폭 상승했다.
현재소비지출지수는 경기 둔화로 임금소득 개선 부진이 지속되면서 가계의 실질구매 여력이 약화되고, 소비심리 위축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물가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고용상황에 대한 부정적 전망도 이어지고 있다.
물가예상지수는 71.3으로 전 분기(73.5)보다 2.2p 낮아졌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물가불안 심리가 여전한 것을 반영했다.
고용상황전망지수는 49.2로 전 분기(46.1)보다 3.1p 상승했지만 5분기 연속 기준치(50)를 밑돌면서 향후 고용전망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2분기 소비자태도지수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소비자물가 상승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향후 경기전망에 대한 불확실성 지속, 금융시장 불안감 해소 지연,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소비심리가 빠르게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