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기]'문제는 경제라고, 이 멍청아!'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김준기]'문제는 경제라고, 이 멍청아!'

[문화 초대석]김준기 미술평론가,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 승인 2012-05-27 14:54
  • 신문게재 2012-05-28 20면
  • 김준기 미술평론가김준기 미술평론가
▲ 김준기 미술평론가,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 김준기 미술평론가,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예술은 제도다. 얼핏 보아 예술은 무질서하고 비정형적인 것 같지만 사실은 엄격한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사회적 제도다. 사회학자들은 예술을 인정투쟁의 장이라고 설명한다. 개인과 집단의 이해의 지평에서 서로 대립하며 공존하는 가치경쟁의 장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개인과 집단의 상이한 비평적 기준에 따라 높낮이가 정해지는 매우 주관적인 영역이다. 그런데 이 '예술은 주관적이다'라는 명제를 무색하게 하는 객관적 잣대가 존재한다는 점. 예술의 지위와 역할을 명쾌하게 규정하기 어렵게 하는 불편한 진실이다.

예술의 가치를 가늠하는 객관적 잣대란 다름 아닌 시장의 가치다. 예술작품은 화폐가치에 의해 높낮이가 정해진다. 그렇다고 해서 보편적인 비평적 시각을 전면 부정할 수는 없다. '작품 보는 눈'이라는 공통감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정서적 보편성이 어떻게 생성되는가 하는 데 있다. 관점에 따라 다소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가령 이중섭과 박수근, 김환기, 장욱진 등 한국의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예술가들의 작품에 쏠리는 관심은 도대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유명 작고작가들의 공통점은 생전보다는 사후에 더 많은 관심을 얻는다는 점이다. 물론 이 작가들이 활동하던 시기는 식민지와 해방공간, 전쟁과 재건의 시기여서 예술이 공공영역으로 자리잡을 여유가 없었다는 점은 십분 감안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어려운 시기였다고 하더라도, 주류와 비주류의 구분은 있기 마련이다. 20세기 한국은 모든 영역들이 근대적 제도 틀을 확립하면서 권력관계를 형성했는데, 미술 또한 제도화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권력관계가 나타났다.

전통사회로부터 이어온 미술권력의 재편 과정에서 살아남은 주류가 있었을 것이고, 새로운 제도로 자리잡은 대학 또한 주류의 온상이었다. 상대적인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시장 또한 주류의 것이었다. 관학파와 더불어 교육과 시장이 만든 주류가 20세기 한국미술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변화는 미술문화의 권력관계를 새롭게 정리해주었다. 여러 가지 동인이 있겠지만 가장 큰 변수는 시장의 확장이었다. 1980년대 급격하게 성장한 시장은 미술의 권력관계를 재편했다. 생전에 권위를 떨쳤던 그 어떤 작가들보다는 가파른 속도로 치솟은 몇몇 대가들의 작품 가격은 대단했다. 물론 작가의 비평적 가치와 시장의 가치가 정비례하는 건 아니다. 비평적 가치는 높은데 대중적 인기와 시장의 평가는 낮은 경우도 많다. 문제는 쏠림 현상이 심하다는 것. 일부 작가들의 작품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는 걸 보면 동의하기 어려운 대목도 많다.

왜 미술작품의 가격은 합리적인 시장의 법칙, 그러니까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훨씬 상회하는 비합리적 수준으로까지 치솟는 것일까? 작고 작가의 작품은 희소성 때문에 작품가격이 올라가는 것을 이해할 수 있지만, 생존작가 작품마저도 이른바 미술투자라는 이름 아래 비상식적인 수준으로 널뛰기를 하다가 거품이 내려앉은 일이 있다. 사용가치보다 교환가치가 더 우위에 서는 자본주의 사회 특유의 현상이 문제의 핵심이다.

“문제는 경제라고, 이 멍청아”. 이 말은 예술에도 고스란히 적용된다. 작품수집은 미적 가치를 독점적으로 소유해서 사적으로 사용(감상)하는 '사용가치' 때문이 아니라 화폐를 확대재생산하는 '교환가치' 때문이다. 가치전도의 현상이다. (작품이라는) 상품을 통한 (화폐)가치의 발견은 자본주의의 필연이지만 어디까지나 상위 1%만의 시장논리다. 99%의 안팔리는 작가들마저 이 논리에 따라 움직인다. 문화소비자인 시민도 마찬가지다. 미술문화에 문외한일수록 1% 문화권력을 숭상한다. 과연 누구의 눈맛에 맞는 예술인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2. [현장]3층 높이 쓰레기더미 주택 대청소…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3. 차세대 스마트 교통안전 플랫폼 전문기업, '(주)퀀텀게이트' 주목
  4.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5. 유등노인복지관, 후원자.자원봉사자의 날
  1. 생명종합사회복지관, 마을축제 '세대공감 뉴-트로 축제' 개최
  2. [화제의 인물]직원들 환갑잔치 해주는 대전아너소사이어티 117호 고윤석 (주)파인네스트 대표
  3. 대전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남대 공동학술 세미나
  4. 월평종합사회복지관과 '사랑의 오누이 & 사랑 나누기' 결연활동한 동방고 국무총리 표창
  5.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헤드라인 뉴스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실낱 희망도 깨졌다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실낱 희망도 깨졌다

2026년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가 2024년 가을 문턱을 넘지 못하며 먼 미래를 다시 기약하게 됐다. 세간의 시선은 11월 22일 오후 열린 세종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이하 산건위, 위원장 김재형)로 모아졌으나, 결국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산건위가 기존의 '삭감 입장'을 바꾸지 않으면서다. 민주당은 지난 9월 추가경정예산안(14.5억여 원) 삭감이란 당론을 정한 뒤, 세종시 집행부가 개최 시기를 2026년 하반기로 미뤄 제출한 2025년 예산안(65억여 원)마저 반영할 수 없다는 판단을 분명히 내보였다. 2시간 가까운 심의와 표..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현장]구청·경찰 합동 쓰레기집 청소… 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속보>="내 나름대로 노아의 방주 같아…'나는 자연인이다' 이런 식으로, 환경이 다른 사람하고 떨어져서 살고 싶어서 그런 거 같아요." 22일 오전 10시께 대전 중구 산성동에서 3층 높이 폐기물을 쌓아온 집 주인 김모(60대) 씨는 버려진 물건을 모은 이유를 묻자 이같이 대답했다. 이날 동네 주민들의 오랜 골칫거리였던 쓰레기 성이 드디어 무너졌다. <중도일보 11월 13일 6면 보도> 70평(231.4㎡)에 달하는 3층 규모 주택에 쌓인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청소하는 날. 청소를 위해 중구청 환경과, 공무원노동조합, 산성동 자율..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 `혁신적 역발상` 통했다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 '혁신적 역발상' 통했다

세종의 높은 상가공실 문제를 감추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드러내 문제 해결을 노린 혁신적 역발상의 '2024 세종상가공실박람회'가 실수요자들의 큰 관심 속에 막을 내렸다. 상가 소유주와 실수요자를 연결함으로써 상가공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으로 20일부터 21일까지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이번 박람회에는 이틀간 1000여 명이 현장을 방문했고 프랜차이즈 부스에서는 6건의 실제 가맹계약이 성사됐다. 여기에 박람회 이후 10개 팀이 실제 상가 현장을 찾았으며 추가로 방문 예약..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