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정임 충남대 예술대 음악과 부교수 |
영화의 줄거리는 한 줄로 요약할 수 있는 정도였다. 남한 선수와 북한 선수가 본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단일팀으로 묶여서 훈련 중에 겪는 갈등과 그것의 극복, 그리고 우승을 이루기까지의 에피소드가 줄거리의 전체다. 영화 전반에 걸쳐있는 '통일'이라는 암묵적인 주제는 전면에 부각되어 있는 여러 갈등들에 밀려 그다지 뚜렷하게 부각되지는 않았지만 그런대로 많은 생각을 하게하는 영화였다. 이 영화를 보면서 전체적으로 느낀 것은 '문화의 힘'이라는 것이었다. 정치적으로 통일문제에 접근하게 되면 너무나 복잡하고 미묘한 문제들이 이리저리 얽혀 있어 실효를 거두기가 그렇게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스포츠라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접근을 하게 되니 처음에는 완전히 이질적인 집단이었던 두 팀이 점차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고, 형제애를 느끼고, 한 민족임을 인식하게 되는 자연스러운 변화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남북화해 분위기의 일환으로 탁구 남북단일팀을 구성해서 세계선수권에 출전한다는 원칙 하나만을 정해놓고 남한 팀과 북한 팀이 일본 전지훈련장에서 만나 훈련을 시작한다. 첫 인사자리에서부터 문화적 차이에 의해 갈등을 겪게 되고, 환영식 자리에서는 '일성'이라는 남한 선수의 이름을 호명하는 것이 북한 선수들에게 거슬리게 되어 결국에는 주먹다툼으로까지 이어진다. 그러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수들은 서로 하나의 팀이라는 인식이 생기면서 점차 친해지게 된다. 이 영화의 최대 갈등은 준결승을 앞두고 북한 측에서 북한 선수들에게 출전 정지 및 귀국 명령을 내리면서 일어난다. 북한 선수들이 규정을 어기고 소지해서는 안 될 물품들을 소지한 것이 문제가 된 것이다. 준결승에는 남한 팀만이 출전해서 겨우 결승에 진출을 했지만 마지막으로 남은 중국 팀과의 결승전에서 남한 팀만의 전력으로는 패배가 분명한 사실이었다. 이러한 최대의 위기 상황에서 위기 극복을 위해 힘을 발휘한 것이 바로 '문화적 공감대'였다. 중국이라는 공동의 맞수를 이기고 어떻게 하든 금메달을 획득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사상적으로 완고한 북한측 보안요원과 단장, 감독의 마음을 녹였고, 결국 북한 선수들을 결승에 내보내게 된다.
결과는 단체전 2대 2 상황에서 마지막 복식 팀으로 출전했던 남한의 현정화와 북한의 리분희가 심판의 편파적인 판정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3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22대 20으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어 결국 중국을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게 되는 감격을 맞는 것으로 끝난다. 위기의 순간에 정치적인 논리라든가 사상적인 설득의 방식으로 접근을 했다면 결코 서로 간의 갈등이 해소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문화적 공감대로부터 출발하여 접근했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점을 찾을 수 있었던 것이다.
통일 문제 같은 거대한 과제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지역 내에서의 문제나, 혹은 직장이나 가정 내에서의 사소한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도 '문화의 힘'이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갈등 해소의 방안으로 함께 공연을 관람하거나, 문화행사에 참여하는 등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이해의 폭이 넓어져 갈등 해소에 많은 도움이 된다. '문화'는 우리 삶의 곳곳에서 우리의 생각을 넘어설 정도의 거대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