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취업률 제고와 관련된 업무가 교수들에게 떠넘겨져 교수들은 업적평가와 강의연구, 산학협력, 장학금 모금 등 이중삼중고를 겪고 있다.
충남의 한 대학 교수는 “대학마다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교수들을 동원해 부담을 주다보니 기업에 있는 제자를 찾아다니는 등 영업사원으로 전락한 꼴”이라며 “정부가 거시적 안목을 가지고 대학생들의 일자리정책을 만들어야하고 대학도 자구책을 마련해야하는데 학교가 각종 편법을 동원해가며 취업률 제고를 교수들에게 떠넘기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교수들은 교수업적 평가는 물론 강의와 연구, 산학협력, 봉사, 장학금 모금, 산학협력 수주액, MOU체결 건수에다 취업률까지 높이는 부담을 안게 됐다.
“학교 측의 무리한 주문들을 볼 때마다 학문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학자에게 전지전능한 초능력자를 요구하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라는 한 교수는 “교육과학기술부가 대학재정지원이라는 명목아래 대학들의 고삐를 죄는 방법도 치졸한데다 학문의 전당으로서의 대학철학과 비전 없이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대학들도 한심하다”고 꼬집었다.
특히 이런 대학평가들은 정량적 평가의 한계와 평가방법의 전문성이나 평가지표의 타당성 부족 등으로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교육역량강화사업 평가지표에 남녀취업률 구분, 국세청 DB를 연계한 1인 창업자와 프리랜서 반영, 예체능계 취업 특수성 반영 등을 통해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였다고 하지만 대학취업률의 순위 매김, 취업의 질, 취업 후 근무기간의 지속성, 동일 산업계로의 진출, 학교내부 취업의 배제, 졸업생의 취업만족도 등 취업률 산정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대학 서열화는 학벌주의의 또 다른 병폐로 우리교육의 구조적ㆍ본질적 문제인 서열화를 고착화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우려까지 제기된다.
이에 대해 대전의 한 대학 교수는 “교육부의 정책은 굶주린 개에게 고기를 보여주면서 맹목적으로 따라올 땐 고기를 던져주고 그렇지 않을 땐 굶기는 나쁜 방식”이라고 비난하며 “올해 취업률 통계기준을 대폭 수정한 것만 보더라도 취업률은 이미 실패한 정책으로 대학은 서둘러 학문의 전당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회복해야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권기대 객원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