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지적 제도가 창설되고 한 세기를 넘어선 지 오래다. 국민 토지소유권 보호와 국가 토지행정업무에 핵심이 된 지적의 역사를 돌아볼 박물관 하나는 갖출 때가 됐다는 뜻이다. 지적은 토지 위치, 형질, 소유 관계, 지목, 지번, 경계 등에 관한 기록으로 끝나지 않는다. 박물관은 국내 지적제도의 발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둘째, 위치의 적합성이다. 지적박물관 입지로 지목한 곳이 내포신도시 인근 보부상(부보상)촌 조성지인데다 구한말 측량학교를 세운 선각자인 만해 선생의 생가가 인근 홍성에 있는 것도 괜찮은 인연이다. 또 세종시, 백제유적과 연계한 관광에 선순환이 될 수 있다. 관광 수요를 고려해야 하는 박물관의 특성상 덕산온천, 수덕사, 예산 고건축박물관 등은 더없는 조합을 이룬다.
셋째, 지적 업무는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을 비롯해 근현대사와 부침을 함께해 왔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기준점 70%가 망실되고 지적도면과 토지대장이 훼손된 아픈 역사도 안고 있다. 국토개발과 효율적인 토지 이용으로 한국경제 견인에 큰 몫을 하는 등 역사성도 풍부하다. 전국에 산재한 자료와 지적 제도를 박물관에 담는 것은 지적측량 인프라 확충 사업 못지않게 중요할 일이다.
끝으로, 지적 선진국으로 가기 위해서다. 종이와 줄자로 하던 지적측량 분야가 측량기준점을 최첨단 기술인 GPS 위성을 기반으로 할 만큼 첨단화를 걷고 있다. 토지(임야)대장, 지적도면 등 지적업무 전산화로 행정지원과 인터넷 민원서비스가 가능해졌다. 최근에는 말레이시아 등지의 지적측량사들이 국내 첨단 측량기술을 배우러 오고 있다. 토지행정과 3차원 지적분야 발전에 관한 국제교류 역시 활발하다.
이런 시점에 학술적인 가치, 지적 정보 홍보와 교육, 토지정책 등 모든 측면에서 필요한 것이 지적박물관이다. 이를 위해 국토해양부와 대한지적공사, 지적학회와 측량협회 및 학회 등과 폭넓은 공감대를 확산시켜 나갔으면 한다. 지적박물관의 필요성보다 그 입지가 왜 내포신도시여야 하는지에 더 설득력을 갖춰야 할 것 같다. 전국에 분포된 지적 행정기구의 이전 또한 쉬운 일은 아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