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튼튼병원 관절센터 박동우 원장 |
관절염은 주로 체중이 많이 가해지는 무릎, 엉덩이, 척추부위, 손목, 발목 등에서 나타나는데, 이 중에서도 무릎 관절염 환자는 50대 이후부터 노년기에 가장 발생률이 높다. 무릎에 발생하는 관절염은 노년의 건강을 위협하게 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질환이다. 건강한 생활의 기본적인 요소가 되는 보행이 힘들어지게 된다.
퇴행성슬관절염의 경우 무릎이 아파 오래 걷는 것은 물론 오래 서 있는 것도 어렵고 계단 오르내리기는 더욱 힘에 부친다. 증상이 심해지면 대부분 자리에 누워 있게 되어 근력 약화나 우울증, 무기력 등 합병증도 야기할 수 있다. 또 한 무릎연골이 닳게 되면 다리가 점차 O자형으로 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한다.
퇴행성관절염 초기인 경우 약물요법과 물리치료로 통증을 완화하고, 비교적 상태가 진행되었을 때에도 비수술적 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이 효과가 없을 시에는 손상된 부분만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씌우는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 을 시행한다.
대부분 관절을 모두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전치환술을 많이 시행되었지만, 대부분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경우 무릎 연골 전체가 닳기 보다는 많이 쓴 부위일수록 더 닳아 울퉁불퉁해지거나 무릎 안쪽만 닳아 있기 때문에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을 적용시킨다.
단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무릎 바깥쪽 관절이 건강하고, 내측인대나 전방십자인대 기능이 정상적이며, 관절 운동 범위가 정상인과 비슷한 경우에 수술 대상이 된다. 또 한 비교적 60 세 이하의 젊은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게 적용한다. 그러나 비만 정도가 심하거나 무릎이 15도 이상 구부러진 경우 부분치환술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은 환자 본인의 관절을 최대한 보존하며, 관절 운동 능력이 정상인에 가깝도록 회복되는 장점이 있다. 전치환술에 비해 무릎에 들어가는 인공관절이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워 수술한 뒤에 이물감이 덜 느껴지며, 전치환술보다 수술 시간이 단축된다. 그러나 무릎관절 연골이 심하게 닳아 더 이상 제 기능을 할 수 없고, 극심한 통증과 정상적인 보행이 어렵다면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대전튼튼병원 관절센터 박동우 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