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본원에는 전국 피해자들의 신고 접수 사례가 빗발치는 반면, 지역 분원에는 홍보 부족으로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의 신고만 접수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성구에 사는 자영업자 A씨는 “급전이 필요해 전단지를 보고 돈을 빌렸는데 이자가 밀리다 보니 원금보다 이자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됐다”며 “정부에서 피해센터를 운영한다기에 급한 마음에 신고전화 1332번으로 전화를 했지만 상담중이니 기다리라는 멘트만 나올 뿐 상담은 받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서구에 사는 회사원 B씨는 “친구에게 명의를 빌려줬는데 돈을 갚지 않아 미납연체 됐다”며 “급한 마음에 도움을 받으려고 전화를 했지만 통화를 할 수 없으니 당연히 신고도 할 수 없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18일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를 설치, 1332번으로 피해자 신고접수를 받고 있다.
지난 22일 현재 3시 기준으로 접수 된 신고건수는 서울을 포함해 4개 센터에서 총 5767건이 접수됐다.
하루 평균 960여건의 신고가 접수되고 있지만 서울 본원을 제외한 4개 센터의 하루 신고 건수는 2~3건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현재 지역별 접수건수는 부산 125건, 대구 97건, 광주 57건, 대전 51건이 신고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대전 51건 중 서울 본원에서 접수한 42건을 제외할 경우 지역 센터에 접수된 사례는 9건에 불과하다.
지역 접수자가 적은 가장 큰 원인은 금감원이 이 같은 상황을 예상 못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피해신고센터 전화번호가 제대로 홍보되지 않아 애꿎은 피해자만 애를 태우고 있는 형편이다.
서구에 사는 김모씨는 “금감원이 지역에 센터가 있다는 걸 제대로 알리지 않아, 피해자들이 본원에만 전화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신고센터를 운영을 위해 금감원, 자산관리공사 직원뿐 아니라 유관 기관인 금융사 직원도 포함됐다.
이렇다 보니 서울 본원을 제외한 지역 센터는 인력만 배치 됐을 뿐 센터가 제 역할을 못할 뿐 아니라 피해신고를 하려는 사람들조차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금감원 한 관계자는 “대표번호인 1332가 홍보됐지만 오히려 지역 신고센터 번호는 홍보 부족으로 본원에 전화 문의가 많다보니 접수로 이어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