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기]목욕 수건

  • 오피니언
  • 사외칼럼

[박용기]목욕 수건

[사이언스 칼럼]박용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승인 2012-04-09 14:12
  • 신문게재 2012-04-10 21면
  • 박용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박용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박용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박용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어느 날 아침 샤워를 하려고 욕실에 들어가 머리를 감고 몸에 물을 적신 후 비누칠을 하려고 보니 목욕 수건이 없었다. 할 수 없이 아내를 불러 베란다의 빨래 건조대에 널려있는 목욕 수건을 가져다 달라고 부탁했다. 그 날은 밖의 날씨가 추워서인지 아내가 수건을 건네기 위해 욕실 문을 조금 여니 싸늘한 기운이 따듯한 욕실 안으로 스며들어왔다. 그런데 막상 추운 베란다에 널려있다 내 손에 건네진 목욕 수건은 의외로 포근한 느낌이었다. 얼마 전 아내가 새로 사온 그물망처럼 생긴 폴리에스터 수건이었다. 오래 전 미국 유학 시절 나는 시카고 북쪽 교외인 에반스턴이라는 곳에 살았다. 시카고는 겨울이 되면 북극권의 한랭기온이 내려와 바람이 많이 불고 눈이 많이 오면서 무척 추운 곳이다.

겨울 일기예보를 들으면 늘 바람으로 인한 체감 온도가 실제 온도보다 많이 낮으며, 영하 20℃ 이하인 날이 많다. 그럴 때면 늘 방송에서 일기예보를 할 때 밖에 있는 금속성 물질을 맨손으로 붙잡지 말 것을 당부했던 것이 기억난다. 그렇다면 왜 다 같이 추운 곳에 있었던 금속은 차게 느껴지고 수건은 그렇지 않을까?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념들을 먼저 설명할 필요가 있다.

어떤 물체의 뜨겁고 찬 정도를 우리는 온도라고 부른다. 온도는 온도계라는 도구를 이용해 수치로 나타내며 수치 뒤에는 늘 ℃ 등의 단위가 붙게 된다. 사람은 뜨겁고 찬 정도를 피부에 있는 신경종말기관인 온도수용기에 의해 감지하게 된다. 우리 몸의 온도수용기는 피부가까이에 있는 냉수용기와 온수용기로 나뉘어 있다. 우리 몸은 온도계처럼 절대적인 온도를 측정하는 게 아니고 상대적으로 차거나 뜨거운 정도를 감지한다. 즉 손가락으로 잡은 물체가 손가락보다 차가워서 피부온도가 내려가면 냉수용기가 작동해 차갑다는 신호를 뇌로 보내고, 반대로 물체가 손가락보다 뜨거우면 온수용기가 작동해 뜨겁다는 신호를 뇌로 보내게 된다. 그러므로 만일 한 손을 따뜻한 물에 담그고 다른 손은 찬물에 담근 후 조금 뒤 그 중간 온도의 물속에 두 손을 함께 담그면, 한 손은 차게 또 다른 손은 따뜻하게 느끼게 된다.

사람이 피부와 접촉한 물체의 온도를 느끼는 데에는 물체의 온도뿐만 아니라 그 물체가 가지고 있는 열전도율이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열전도율이란 물체가 얼마나 빨리 열을 전달하는 지를 나타내는 물체의 특성이다. 금속은 나무에 비해 열전도율이 100배 이상 빠르며 공기에 비해서는 1000배 정도 더 빠르다. 즉 접촉 시 우리 손으로부터 열을 빨리 빼앗아 가는 금속 물체는 그렇지 않은 나무나 목욕수건보다 차갑게 느껴지게 된다. 목욕수건의 경우 섬유의 열전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엉성한 조직 속에 공기를 많이 가지고 있어 더욱 열전도율을 낮춰주기 때문에 처음 만지는 순간 찬 느낌을 별로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람들이 온도를 감지하고 인식하는 방법은 온도계가 보여주는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며, 다분히 상대적인 느낌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느끼는 물리적인 온도 변화는 심리적인 느낌과도 연결돼 있다. 토론토 대학의 심리학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사회적으로 따돌림을 받은 경험을 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같은 방의 온도를 더 싸늘하게 느낀다고 한다. 실제로 뇌기능 연구에 의하면 물리적인 온도 변화의 인식과 관련된 뇌 부위인 섬엽(insula)은 사회적 따뜻함과 연관된 신뢰나 공감과 같은 느낌의 처리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가이며 시인인 칼릴 지브란은 '관대함이란 당신이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베푸는 것'이라고 했다. 목욕수건이 열린 틈을 가지고 그 속에 많은 공기를 품고 있어 차가운 밖에 있어도 그리 차갑지 않게 느껴지는 것처럼, 나도 세상을 살면서 열린 마음을 품고 나 이외의 생각들을 함께 품을 수 있는 관대함을 가질 수 있기를, 그래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남들에게 따뜻함을 전하는 사람이 될 수 있기를 원해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고교 당일 급식파업에 학생 단축수업 '파장'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4.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탄핵정국 4·2 재보궐 충청 민주 2승 국힘 1승

탄핵정국 4·2 재보궐 충청 민주 2승 국힘 1승

탄핵정국 민심을 가늠할 충청권 4·2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2승 국민의힘이 1승을 각각 나눠가졌다. 충청권은 전통적으로 전국민심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지역으로 이번 선거 결과에 정치권이 주목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아산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오세현 후보가 득표율 57,61%(6만5912표)를 득표하며 당선됐다. 대전시의원(유성2) 선거에서 민주당 방진영 후보가 당선됐다. 방 후보는 47.17%(8000표)를 득표했다. 국민의힘 강형석 후보는 40.37%(6847표), 조국혁신당 문수연 후보는 12.44%(2110표..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국내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약 9500여 만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40대 차주의 평균 대출 잔액은 1억 1073만 원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553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12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1인당 대출 잔액은 지난 2023년 2분기 말(9332만 원) 이후 6분기 연속 증가했다. 1년 전인 2..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 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