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도 산하사업소 등 25개 공공기관이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통해 총 4007t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고 밝혔다. 소나무 78만1000그루가 한 해 흡수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처럼 지자체가 나름대로 성과를 내고 있는데도 지역민들은 일상생활에 나타나는 녹색변화는 미미하다고 생각한다. 이른바 '기든스 딜레마(Giddens dilemma)'인 셈이다.
그 이유는 효율성과도 관련이 있다. 사실 4대강, 자전거도로밖에 생각나지 않는다는 시민도 있다. 도시 숲,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녹색교통 확대 등으로 피부에 와 닿게 할 필요가 있다. 탄소 절감을 많이 한 주체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좋겠다. 친환경 상품을 구매하거나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탄소포인트제나 그린카드 가입자를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중요한 것은 일상 속의 녹색생활 실천이다. 충남도는 탄소포인트제에 6만6000여 명이 참여해 3000t에 가까운 온실가스를 줄였다고 밝혔다. 도민들의 작은 정성이 모여 나무 7500그루를 심은 효과와 맞먹는 성과를 냈다면 더없는 환경보호 운동이요, 녹색성장 사업이라 하겠다.
환경보호는 물론 녹색산업 육성과 녹색기술 개발로 일자리를 창출하며 아울러 소득도 올리는 게 녹색성장의 본질이다. 탄소배출 줄이기가 전부는 아니다. 이제 녹색성장을 실용화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고민할 때가 됐다. 녹색성장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면 서둘러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