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애숙 대전지방기상청장 |
그렇다면 기상의 영역은 공기의 대류운동이 발생하는 지상에서부터 약 10㎞까지의 대류권에만 국한되는 것일까. 조선시대 기상관측을 담당했던 관상감에서는 측후 뿐만 아니라 하늘이나 자연의 변화를 읽어 일기를 예측했다. 천문과 풍수를 포함해 하늘과 땅 그리고 우주의 움직임까지 감시를 놓치지 않았다.
현재의 기상청은 날씨예보는 물론, 슈퍼컴퓨터와 수치모델, 기상위성까지 첨단 기술을 겸비해 땅속에서부터 우주공간까지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지난해 3월 일본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기상청은 국민이 우려했던 방사선 물질의 이동 경로를 기류분석을 통해 실시간 제공했다. 또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큰 지진이 발생할 상황을 대비해, 지진분석 능력 향상으로 지진정보를 생산하고 전달하기까지 시간을 10초 이내로 단축(2020년)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대류권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그대로 관측하고 분석해 예보를 발표하는 것이 일차원적인 기상기술이라면 이제 필요할 때 강수를 내리는 기상조절의 시대로 한 발 더 다가와 있다. 이는 구름물리에 기초한 인공증설 및 안개저감기술로 가뭄이나, 산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상의 영역을 땅과 대기에서 우주권까지 확장시킨 분수령은 바로 우리나라 최초 기상위성인 천리안위성이 발사된 2010년이라 할 수 있다. 독자적인 기상위성을 보유해 구름탐지 뿐만 아니라 예보, 기후, 환경 등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기상요소 산출물을 얻을 수 있게 됐다. 우리나라에 포인트를 맞춘 안정적인 관측자료의 생산으로 기후변화감시 및 자연재해 대응역량이 한층 강화됐다.
이제 기상청은 우주기상예보를 준비하고 있다. 우주기상예보는 일기예보를 하듯 행성계 날씨를 예보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활동에 따른 영향 정도를 예보하는 것이다. 생활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인공위성의 운용이나 이동통신, 라디오 주파수 등 전파나 전력, 보건의 분야는 태양활동에 영향을 받게 된다.
우주공간상의 태양풍, 지구자기권, 전리권, 대기권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전자ㆍ전기권 장애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태양 흑점 폭발의 영향으로 화산폭발, 해일, 지진 등이 발생해 지구의 위기를 가져온다는 내용의 영화 '2012'로 관심이 높아진 태양활동의 극대기는 11년 주기로 반복되며 내년에 태양활동의 극대기에 접어들게 된다.
강력한 우주 폭풍으로 인해 1989년 3월 캐나다 퀘백주에 9시간 정전이 되고 2만MW의 전력손실이 발생한 바 있으며 2003년에는 아리랑위성 1호의 궤도 변화가 발생된 적이 있다.
전기ㆍ전자기기의 작동 이상으로 인한 피해는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수반하는데, 작년 9월 국내에서 발생한 3시간 동안의 블랙아웃시 300억원의 손실이 났다.
태양활동에 의한 전자ㆍ전파교란 발생 시 그 피해규모를 상상할 만하다.
이러한 간섭을 전면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지라도 태양활동 정도와 예상되는 장애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면,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미리 대비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상청은 오는 4월부터 우주복사폭풍, 우주입자폭풍, 우주 자기폭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기상업무의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땅속과 바다, 공기가 존재하는 대류권, 우주와 은하계까지 어느 형태로든 기상과 기후와 맞닿아 있는 분야라면 영역을 확대해 국민 생활에 편익을 도모하고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에 충실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