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재인 대전시의회 의원 |
죽음은 '사라져 버리다, 없어지다' 즉, 소멸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장기기증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이라는 긍정적 의미가 내포돼 있다. 생의 마지막 순간에 타인의 눈과 심장이 되어 누군가 새 생명을 얻어 감사한 맘으로 아름답게 살아간다면, 그 자체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고귀한 가치를 지니게 된다. 장기기증은 생의 마지막 순간에 장기기증을 통해 누군가에게 보다 더 아름다운 새 생명을 탄생시키는 것이다.
장기이식은 20세기 중반부터 첨단의학의 한 분야로 등장해 기존의 어떤 치료법으로도 치료되기 힘든 각 장기의 말기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장기를 뇌사자 및 생체에서 기증된 건강한 장기로 대체하는 수술을 말한다. 장기기증에는 생전기증(신장, 간, 췌장, 폐, 소장 등)과 뇌사기증(심장, 허파, 췌장, 간 등)이 있고, 사후기증에는 조직기증(각막, 골수, 뼈 등)과 시신기증(사후 보호자 동의 하에 기증 가능)이 있다.
우리나라 장기이식자의 생존율을 보면, 장기이식 후 3개월은 93.23%, 1년은 88.42%, 5년은 82.31%로 장기이식만 받으면 다시 생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9년 처음 성공적으로 신장이식이 실시되었고, 2000년 2월 9일 뇌사 합법화 이후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가 설치돼 장기기증자 및 이식대기자를 통합, 관리하고 있다.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 장기이식 통계에 따르면, 장기기증 희망자는 2000년 1246명에서 2010년 12만 4377명으로 100배 증가했으나, 2010년 장기이식자는 2458명으로 이식대기자의 16.8%만 이식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인체조직의 수급 현황을 분석해 보면, 2007년 자체 수급률은 10~20% 정도다. 인체조직은 약 80~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인데 2007년에 외국에서 수입된 조직의 국가별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 독일, 프랑스, 멕시코, 벨기에 순으로 조직을 수입했다. 이중에서 미국에서 수입된 조직을 연도별로 구별해 보면, 2005년 88% (4만334점), 2006년 84%(5만1212점), 2007년 72.4% (7만2408점)로 인체조직 수입에 관한 한 미국에 지나치게 편중된 것이 현실이다.
장기와 인체조직 기증을 활성화하려면, 장기와 인체조직 이식과 관련된 기술이나 제도적인 발전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장기와 인체조직 기증에 대한 사회적인 연대감 형성과 이해를 통해 생전에 장기기증 의사결정 및 표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의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해야 한다. 또한 의료기관 등 전문기관의 장기기증은행 활성화와 잠재뇌사자 발굴 및 신고 등의 활동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인체조직 기증은 아직 우리나라는 기증자가 적어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주요 선진국에 비해 높은 의료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장기 및 신체조직 등 대기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낮은 이식률로 인해 대기자의 고통 및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전국 다수 지방정부가 조례를 제정해 장기등 기증을 장려하고 있다. 따라서 대전시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장기 및 인체조직 등 기증 장려 시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제200회 임시회에서 장기 등의 기증에 관한 장려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도록 시장의 책무 규정과 계획 수립, 장기 등 기증 등록신청 접수창구 설치, 개별 조례가 정하는 각종 시설의 입장료, 사용료 등에 대한 감면, 포상 등을 규정하고 있는 '대전광역시 장기 등 기증 장려 조례'를 발의할 예정이다.
향후 장기 기증의 활성화를 위해서 헌혈을 하면 헌혈 증서를 통해서 헌혈자가 무상으로 공급받듯이 뇌사, 사후기증자 유족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가족의 장기수혜 필요시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차후 검토할 계획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