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가 출범과 함께 고용시장 활성화를 강조한데 이어, 대전시 역시 민선5기 역점과제로 일자리 창출사업을 중요시 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실업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고, 지역의 경우도 맞춤형 일자리 부족 등으로 실업난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일자리 창출 및 실업 문제는 향후 정치권과 지자체가 풀어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일자리 창출=대전시는 지난해 '일자리가 풍부해 잘 사는 대전'건설을 위해 일자리 창출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기업ㆍ투자유치와 친서민 일자리 등 모두 5개 분야에서 총 2만5544개의 일자리를 창출, 당초 목표(2만2097개) 대비 115.6%를 달성했다.
세부적으로는 지난해 기업ㆍ투자유치분야에서 6177개, 친서민 일자리에서 1만1719개, 청년 일자리 2450개, 대전형 일자리 3555개 등을 창출해 모든 분야에서 당초 목표를 뛰어넘었다.
특히 기업부문에서 시는 지난해 연구소와 콜센터 등 152개 기업을 유치해 모두 5618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데 이어, 친서민 일자리에서는 취약계층(공공근로, 지역공동체 등)에서 5142개, 여성인력개발센터 등 여성 일자리 2866개, 노인 일자리 1327개 등을 창출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 실적을 냈다.
하지만, 관계당국의 이러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ㆍ외 경제불안과 글로벌 경기침체 등의 요인으로 서민들의 체감 실업률은 가중되고 있다. 올해의 경우도 유럽 재정위기 등 세계경기의 불안으로 국내 경기침체 지속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고용환경의 개선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실업문제 해소 시급=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국의 실업률은 2.9%로 실업자는 74만명에 달한 가운데, 대전의 경우 실업률이 3.3%로 다소 높았고, 실업자는 2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청년실업률이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전국의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1%로 29만2000명에 달했고, 대전 청년실업률의 경우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도는 8.4%(실업자 1만명)를 기록했다. 이는 다른 대도시(서울 7.6%, 부산 7.7%, 대구 5.5%, 광주 4.5%)와 비교해도 크게 높은 수준이다.
이 같은 결과를 볼 때 대전은 실업 문제 해결이 시급한 지역으로, 전문가들은 대기업 유치와 함께 양질의 일자리 창출,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을 지적하고 있다.
윤창노 대전시 일자리추진기획단장은 “과학벨트 입지와 세종시 건설 등 대전발전의 호기를 활용해, 일자리 창출을 민선5기 중반기 역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다”며 “청년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고졸자 취업지원을 위한 대책수립 추진으로 고졸자의 일자리를 늘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천식 대전충청미래포럼 대표는 “우선은 대기업의 유치방안을 찾고, 국토의 중심인 대전만의 장점을 살린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며 “우리 지역의 특화산업을 육성하는 발전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기돈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대학 졸업생의 증가와 기업들의 채용인원 감소는 전국적인 고용시장 구조상의 문제”라며 “지자체에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산업육성에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전규 기자 jk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