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제주, 춘천 등 전국 각지에서 괴담 관련 수사가 진행된 것이 불과 얼마 전이다. 천안에서는 구체적인 지명 묘사까지 곁들인 목격담이 나돌았다. 며칠 전 진주에서는 괴소문의 용의자인 학생이 잡혔다. 잡고 보면 인터넷에서 유명세를 즐기거나 일반의 관심과 주의를 끌려는 사소한 동기에서 출발한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대전 사례에서도 보듯이 유언비어성 소문을 초기에 차단하지 않으면 트위터 등의 날개를 단 소문은 끝없이 확대재생산된다. 헛소문으로 의심되더라도 일단 사실 유무를 확인해 실체를 밝혀내야 한다.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회 불안을 야기하는 괴담에 대해서는 엄중하고 신속히 다룰 필요가 있다.
현실적으로 학생을 포함한 네티즌의 자제에 우선 호소할 수밖에 없다. 미확인 소문을 무심결에 제3자나 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는 삼가야 한다. 경찰 수사력 낭비는 물론 막상 실제 사건 발생 시 대처에 소극적일 수 있다. 생각 없이 퍼나르는 실체 모를 괴담에 자신도 모르게 공모하는 셈이 된다는 걸 알아야 한다.
이번 대전 사례처럼 ‘할머니가 도와달라 했다’, ‘CCTV에 찍혔다’ 등의 구체적인 정황으로 거짓 포장된 악성 유언비어의 폐해는 크다. 민심을 흉흉하게 한다. 1980년대 후반 인신매매단 범죄를 기억하는 기성세대들도 반신반의하면서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자녀를 가진 부모라면 더 그렇다. 진앙지 파악이 빨라야 사회적 파장도 빨리 가라앉는다.
앞으로 유사한 사안이 발생하면 그 근원지를 발빠르게 찾고 학교도 가정통신문 발송 등 관심 있께 대처해야 한다. 해당 행위에 대한 형사처벌이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지만 처벌 근거가 미약하다고 미진하게 대처할 일은 아니다. 정당한 의견 개진과 허위 사실 유포는 엄격히 구분해야 한다. 근거도 실체도 없는 대전 괴담이 그만 잠잠해지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