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4·11 총선을 보는 세가지 시선

  • 오피니언
  • 데스크시각

[김대중]4·11 총선을 보는 세가지 시선

[중도시평]김대중 정치부장(부국장)

  • 승인 2012-02-07 15:30
  • 신문게재 2012-02-08 20면
  • 김대중 정치부장(부국장)김대중 정치부장(부국장)
▲ 김대중 정치부장(부국장)
▲ 김대중 정치부장(부국장)
민의의 전당 여의도에 칼바람이 분다는 소식이다. 정치인들에겐 총선과 대선이 20년만에 한꺼번에 치러져 생사가 갈리는 해이니 그럴 법도 하지만 각 당의 셈법은 복잡하다. 총선 뿐만 아니라 대선을 염두에 둔 포석이 필요한 까닭이다.

최소한 충청권 총선을 관전하는 방법은 몇가지로 요약된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의 대세론은 유지될 것인가. 민주통합당은 총선을 통해 대선 교두보를 확보할 것인가. 자유선진당은 기사회생할 수 있을 것인가. 그 중 충청이 기반이라는 자유선진당으로부터 들려오는 소식은 처연한 지경이다. 이웃집을 기웃거리던 현역의원 3명은 때를 기다렸다는 듯이 차례로 당을 떠났고, 심대평 대표에게로 향한 책임론은 당대표 사퇴론까지 이어지고 있다. 18대 총선 직전인 2008년 2월 1일 이회창 총재를 영입해 화려하게 출항했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정치가 생물이라면 선진당 현역의원 3명의 줄탈당을 나무랄 수만은 없다. 범인(凡人)이 곧 침몰할 것 같은 배에 남아있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고, 남아있길 기대하는 것도 무리다. 이용희·이상민·김창수 의원의 탈당은 선진당의 현주소를 가늠하는 잣대가 된다. 그들에게 탈당의 명분이 명확히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선거철만 되면 자리를 옮기는 정치인들의 말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당과 이념이 애초부터 맞지 않았다. 마음이 맞는 당은 따로 있었다. 당 개혁을 위해 분골쇄신했으나 역부족이었다” 그리고 그들이 택한 곳은 대부분 권력을 곧 잡을 것 같은 안전지대였다. 조강지처를 내치지 않는 것은 우리네 정서다. 먹고 살기 어려운 가난한 집안을 두고 살길을 찾아 떠난 그들에 대한 심판은 유권자 몫이다. '선진당의 현재'는 외부가 아닌 내부에 원인이 있다. 총선을 목전에 두고 아직까지 보수대연합이나 개헌연대가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보수대연합의 대상인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은 당내 복잡한 계파 정리하기에도 바쁜 상황이고, 개헌 카드는 한참 전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 이재오·김무성 의원까지 전도사로 나섰지만 실패했다. 지금 선진당에 필요한 것은 위기를 직시하는 현실 인식이다.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도 시원치 않을 판에 보수연합과 개헌연대라는 낡은 녹음기를 틀어 유권자를 돌아서게 하고 있다.

선진당은 두번이나 청와대 문턱까지 갔던 이회창 전 대표가 있고, 참여정부와 현정부에 의해 몇차례 총리 물망에 올랐던 심 대표가 있으며, 한때 'YS의 젊은 피' 이인제 의원이 있다. 시쳇말로 스펙만큼은 새누리당이나 민주통합당에 뒤지지 않는다. 선진당이 여야 두 거대 정당이 이해관계에 따라 무시해온 충청지역 현안을 중앙정치권에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해온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정체성이다. 지금 유권자는 선진당이 무엇을 말하고 있고, 무엇을 말하려 하는지가 궁금하다. 지금 선진당에 필요한 것은 절실함이요, 절박함이다.

새누리당이나 민주통합당이 보는 총선의 셈법은 선진당과 다를 수밖에 없다. 대선주자가 널려 있는 상황은 십수년간 이어온 간판을 바꿔달게 하고, 적진에 뛰어드는 장수가 속출하게 한다. 총선 승패와 관계없이 먹을만한 과실이 즐비한 식탁을 대면할 수도 있는 까닭이다. 총선에서 이기면 개선 장군이 되고, 지면 주군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성스런 패장이 되는 연유다.

무릇 정치의 계절이다. 정치 초년병이나 중진이나 때로는 부나비가 되고, 때를 기다리는 '강태공의 시절'이 도래했다. 회남자에는 '불음도천'(飮盜泉·목이 아무리 마르더라도 훔친 샘물은 먹지 않는다)이라는 글귀가 있다. 현대사회에서 선거는 공직에 오르는 등용문이다. 한명, 한명이 입법기관인 국회의원이야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총선주자들의 종착지가 부와 권력이 아니라면 좌고우면하지 않는 당당함이 필요하다. 시세에 따라 부침하는 정치인을 누가 뽑을 것인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5.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3.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이태원 참사 희생자 고 박가영씨 목원대 명예졸업 "빛나던 열정 기억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 고 박가영씨 목원대 명예졸업 "빛나던 열정 기억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인 고 박가영씨가 동기들과 함께 졸업의 순간을 맞았다. 패션을 통해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던 꿈 많던 대학생은 이날 학사모를 쓰지 못했지만, 그가 사랑했던 캠퍼스는 빛나던 열정을 기억하며 명예졸업을 선사했다. 목원대는 20일 '202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갖고 2022년 10월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희생자인 고 박가영씨에게 명예졸업증서를 수여했다. 참사 가영씨는 당시 목원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었고, 올해 23세가 된 그의 동기들은 졸업을 한다. 가영씨는 중학교 시절 TV에서 목..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