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중요한 사실은 학교폭력 등 현안의 긴급성과 심각성을 감안할 때 임시방편적 충원은 안 된다는 점이다. 청소년 비행 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3조856억원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형사정책연구원의 분석이기도 하다. 또 학생 인권만이 아닌 실추된 교권회복을 위해서도 전문성은 대폭 보강돼야 한다.
현재 전국적으로 배치된 전문상담교사는 고작 880여 명이다. 보도에 따르면 대전지역의 경우는 293개 초·중·고교 중 124명에 불과하다. 그나마 다수가 인턴교사로 채워져 있다. 추가로 전문상담교사를 선발·배치하기는 해야 한다. 학교폭력뿐만 아니라 반항 및 품행장애, 정서 불안 등 상담치료가 개입돼야 할 위기 청소년 수를 생각하면 이처럼 급한 일도 없다.
그렇다고 숫자 맞추기 식이 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 대전과 충남교육청이 전수조사한 바로는 자격증 소지자 814명의 10% 이상이 전문상담교사로 전환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1만여명 중에서는 20% 이상이 전환을 원한다. 현직 전문상담교사나 임용시험에 합격한 전문상담교사 발령 대기자들의 불만도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담임교사와 생활담당교사로는 도저히 대처가 안 되는 사안을 자격증을 소지한 일반교사들에게 맡겨 얼마나 실효를 거둘지 의문이다. 방학기간 연수프로그램 등으로 취득한 자격증으로 과연 얼마나 내실 있는 전문상담을 할 수 있을지 역시 미지수다. 우리 교육 문제의 해법이 불확실하거나, 일부의 주장대로 '돌려막기'여서는 곤란하다.
더더욱 학교폭력 예방과 대처를 위해 강화돼야 하는 것이 전문성이다. 물론 소정의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취득했더라도 전문성이 부족한 교사를 전문상담교사로 채워서는 안 된다고 본다. 지금 교육현장에는 자격증이 요구하는 '자격'만 있는 일반교사보다는 전문가다운 안목을 갖춘 정규직 전문상담교사가 필요하다고 보는 까닭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