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대전시립미술관에 따르면 소장품 구입절차는 1차 미술관 학예연구사들이 역사성, 지역성 등을 고려해 구입 작품을 3배수로 추천, 2차 미술관장·학예실장 심의, 3차 작품수집심의위원회를 거쳐 선정된다.
반면, 서울시립미술관과 부산시립미술관의 소장품 구입 절차는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해 진행하고 있다.
부산시립미술관은 공모 접수된 작품을 토대로 추천위원회와 구입위원회의 심의 절차를 거쳐 소장품을 구입하고 있다.
서울 시립미술관도 공모를 통해 소장품 구입과정을 공개해 작가, 작품 소장자, 화랑, 작품 매매 법인 등이 공고를 보고 신청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대전시립미술관의 작품구입 방식은 학예사들의 면밀한 사전조사를 통해 진행된다는 점에서 합리적인 제도로 볼 수 있지만, 냉정한 평가 진행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게 미술계의 중론이다.
미술관이 공정성과 객관성, 윤리의식을 갖추고 소장품 선정을 진행해야 한다는 미술계와 문화계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또 추천위원과 구입위원들이 로비에 노출될 우려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미술계 중견 인사는 “아무리 외부 전문가들이 추천심의와 구입심의를 한다고 하지만 그 회의 석상에서 냉정한 평가가 진행될 수 있겠냐”며 “미술관장의 의중에 따라 소장품 구입 작품 선정이 되지 않겠냐”며 꼬집었다.
객관성과 투명성이 확보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미술계 안팎에서는 작고 작가와 생존 작가들의 구입방식 이원화(생존작가 작품은 학예실이 구입, 작고 작가 작품은 공모를 통해 공개적 구입) 등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지역 한 미술평론가는 “시립미술관이 명확한 소장품 구입 원칙과 정체성을 지녀 신뢰받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며 “공모 접수를 통해 진행하는 방식은 객관성과 투명성 확보는 물론 그동안 발굴되지 못했던 새로운 작품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협 대전시립미술관장은 “소장품 구입 절차를 공모로 진행한다면 장단점이 있다”며 “3억원의 적은 예산을 갖고 대전 미술 아카이브를 정립해야하는데 공모 제도로 아카이브 형성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