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성]정월, 편지를 열게 하는 용기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이철성]정월, 편지를 열게 하는 용기

[중도춘추]이철성 건양대 군사경찰대학장

  • 승인 2012-01-26 14:59
  • 신문게재 2012-01-27 20면
  • 이철성 건양대 군사경찰대학장이철성 건양대 군사경찰대학장
▲ 이철성 건양대 군사경찰대학장
▲ 이철성 건양대 군사경찰대학장
신라 소지왕은 말을 탄 무사에게서 한 통의 편지를 전달받았다. 겉봉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다. '이를 떼어 보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고, 떼어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다.'

왕은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다는 떼어보지 않고 한 사람만 죽는 것이 낫겠다고 했다. 이때 날씨와 길흉화복을 예측하는 일관이 아뢰었다. “두 사람이란 서민(庶民)이요, 한 사람이란 왕입니다.”

이에 편지를 열게 하니 '거문고 상자를 쏴라'(射琴匣)라고 적혀 있었다. 왕이 이상히 여겨 곧 궁중으로 돌아가 활로 거문고 상자를 쏘니, 그 안에 내전(內殿)에서 향을 올리며 수도하던 중과 궁주(宮主)가 몰래 통정하며 역모를 꾸미고 있었다. 이에 두 사람을 사형에 처했다.

『삼국유사』 '기이(奇異)' 사금갑조(射琴匣條)에 나오는 유명한 이 이야기는 정월 초하루를 갓 지낸 우리에게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한다.

왕은 편지를 받기까지 여러 가지 이상한 징조를 경험했다. 왕이 천천정(天泉亭)으로 나가려 하자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며 길을 막았다. 그리고는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라”고 했다. 왕의 명령을 받은 기사가 까마귀를 뒤쫓아서 남쪽으로 피촌(避村)에 이르렀는데, 돼지 두 마리가 맹렬히 싸우고 있었다. 말을 탄 무사는 그것을 구경하다가 깜빡 까마귀를 놓치고 길가에서 방황했는데, 한 노인이 연못에서 나오면서 글을 전해 주었다. 그 글이 바로 왕에게 전달된 편지였다.

위기를 넘긴 왕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해마다 정월 초하루부터 열이틀까지 이어지는 십이지에 해당하는 열두 동물의 날 가운데, 쥐의 날인 상자일(上子日), 말의 날인 상오일(上午日), 돼지의 날인 상해일(上亥日)을 몸을 삼가고 마음을 살피는 기간으로 선포했다.

이상 징후를 알려 주려 했던 쥐, 까마귀, 돼지 그리고 편지를 전해준 어떤 노인은 신라의 전통을 지키려던 세력으로 해석된다. 당시 신라는 고유의 민간 신앙과 불교 사상이 서로 접촉하는 시기였다. 궁중에 향을 올리던 중이 등장하는 이유다.

정치세력도 이런 변화에 민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상의 변화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를 모두 뒤바꿀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었다. 민간신앙에 기반을 둔 정치세력은 쥐, 까마귀, 돼지, 신비의 노인을 등장시켜 역모를 왕에게 알리려 했다. 여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나라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일관이었다.

일관(日官, weather shaman)은 날씨를 예측하고 길일을 잡는 임무를 맡은 하급 관료였다. 그러나 고대 국가 형성 이전, 이들은 군장과 분리된 종교의 수장인 제사장이었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그 사회 전체를 이끌던 샤먼이었다. 왕권이 강화되면서 한낱 미천한 관료로 떨어졌으나, 그는 세상의 변화를 이미 경험했고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기에 왕에게 직언한 것이다. 편지를 열어 보라고 직언을 한 일관의 용기와 이를 받아들인 왕의 결단. 이는 일면 민간신앙에 바탕을 둔 정치세력과 외래 불교 이념으로 무장한 정치세력과의 진검 승부에서 전자의 승리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역사의 큰 흐름에서 보면, 이 사건은 법흥왕의 불교 공인과 정치개혁의 와중에서도 신라가 민간 신앙을 아우르는 독특한 불교 사상을 형성하고, 그 속에서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됐다.

시대의 간극을 훌쩍 뛰어넘은 21세기, 우리 사회에서 옛 것과 새 것, 그리고 보수와 진보의 논쟁은 자연스런 현상이 됐다. 그리고 왕에게 직언했던 일관의 역할은 이제 국민 개개인의 의무이자 권리가 됐다.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둔 음력 정월을 맞으면서, 자신의 소신을 밝힌 옛날 어느 한 일관의 용기에 새삼 주목하게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5.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3.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