밖으론 수사권 독립을 지켜내지 못했고 안으로는 직원 비리 등이 연이어 불거지면서 새로운 청장의 리더십에 경찰안팎의 기대가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27일 국무회의에서 검·경 수사권 조정안이 원안대로 통과되면서 일선 경찰의 강력한 반발을 샀다.
경찰의 내사 권한은 보장되지만 조정안에서는 사실상 경찰의 내사 범위를 축소할 뿐만 아니라 검찰 통제는 그대로라는 평가다.
대전·충남경찰청에서도 수사 경찰을 중심으로 검·경 수사권 조정안에 대한 토론회를 열며 경찰의 수사권 독립에 목소리를 보탰지만 조정안을 개정하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검찰의 지휘 아래에 그대로 수사에 나서야 한다는 점에서 경찰은 아직도 외적인 안정을 찾지 못한 상태. 지방경찰청 소속 수사경과 경찰 역시 상황은 다를 게 없는 점에서 반발이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대전·충남경찰청은 내부적인 불안정 속에서 새해를 맞게 됐다.
대전경찰의 경우, 지난해 12월 한 경찰 간부가 이상원 대전경찰청장의 컴퓨터를 해킹하고 청장실 내부의 대화내용을 녹음하는 등 경찰 초유의 사건이 발생한 것. 이 사건으로 대전경찰은 지휘관과 직원간 신뢰도가 떨어진 만큼 향후 내부 소통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뿐만 아니라 대전의 한 치안센터에서 근무하는 경위가 술에 취해 초등생을 감금하는 등 사건이 발생해 직원 관리에도 적색등이 켜진 상태다.
충남경찰 역시 마음을 놓을 수가 없다.
지난해 11월에는 충남 A경찰서에 근무하는 경찰관끼리 주먹다짐을 벌여 충남경찰청이 감찰에 착수했는가하면 같은 달 충남 B경찰서 간부가 음주 교통사고를 낸 뒤 음주측정을 거부한 사실이 알려지는 등 물의를 빚기도 했기 때문.
이같은 안팎의 우환속에서 신임 경찰청장에게 대전·충남경찰의 쇄신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일부 실효성을 찾기 힘든 쇄신 캠페인만을 벌이는 것이 아닌,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진다.
경찰 한 관계자는 “새로운 지휘관 체계에서 실효성 있는 쇄신안이 나올 것”이라며 “밖으로는 만족치안과 안으로는 결속력 강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경태 기자 biggerthanseou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