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이면 숱한 우여곡절 끝에 역사적인 세종시 출범을 맞이한다. 2012년 용띠해 승천하는 세종시는 지역민을 넘어 전국민이 원하는 모습이다. 기반시설 설치와 중앙 행정기관의 원활한 이전을 넘어, 새로운 2개 중심축인 세종시청과 교육청이 빠르게 제 자리를 잡아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세종시의 출범 원년 현주소와 출범까지 남아있는 주요 과제를 집중 점검해보았다. <편집자 주>
▲ 세종시 행정타운 건설 현장 |
▲남은 6개월, 세종시 출범 준비 현주소는=세종시 출범 준비단에 따르면 세종시는 지난해 말 첫마을 입주 시작과 함께 본격적인 첫 발을 내디뎠다. 공동주택 공급 정책과 중앙 행정타운 조성, 도로와 복합커뮤니티센터, 공원, 상업·유통 등 각 분야별 기반시설 설치는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이는 건설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2030년까지 단계별 로드맵에 따라 추진 중인 사항이기도 하다. 결국 관건은 세종시의 미래를 좌우할 행정과 교육 주체 바로 세우기로 모아진다.
세종시청 및 교육청사가 임시청사로 출범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이 같은 역할은 지난해 4월 출범한 세종시 출범 준비단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출범준비단에 따르면 유례없는 특수한 형태의 자치모델 정립을 위한 새로운 행정 및 교육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행정체제 구축 및 서비스 기반마련 부문에서는 자치법규 제정과 조직설계, 인력운영계획, 행정구역 정비, 세종시 임시 청사 확보, 공무원 역량강화, 도로구역 및 표지 정비 등이 준비되고 있다.
재정기반은 시세 징수체계 정비와 재정확충 및 예산편성 작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또 주민화합 및 시민역량 제고, 공직선거 및 지방의회 구성 지원, 세종시 출범행사 및 CI 등 상징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육자치 부문에서도 법규제정과 조직설계, 인력운영계획, 예산편성, 임시청사 확보 등이 준비되고 있다.
▲ 세종시 청사 조감도 |
조직규모는 광역+기초에 해당하는 행정수요를 고려해 설계 중이고, 4월 세종시장 신임 당선자와 논의 후 자치입법에 반영할 복안이다.
재원확보 부문에서는 국고보조금 사업에 대한 차등보조율 적용과 광역 특별회계 내 세종시 계정 설치 등을 위한 법률 개정 노력을 추진 중이다.
청원군 부용면과 공주시 3개면 등 편입지역 공동화 방지 재정대책도 총리실 주관의 세종시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용역(6월 완료)을 통해 마련할 예정이다.
▲ 세종시 교육청사 조감도 |
또 중앙 및 인근 지자체와 인사교류, 특정 보직관리 전문가 양성제도, 성과평가제 등을 추진하는 한편, 다양한 개방형 직위 신설과 국내·외 민간 전문가 유치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세종시 교육청 출범 준비는=교육청 표준 정원은 지난해 11월 352명으로 고시된 이후, 상반기 중 국가직인 교육전문직 정원을 확보, 반영할 계획이다.
교원 전입대상자는 지난해 말 이전 기관 공무원 배우자를 상대로 유치원 2명, 초등학교 19명, 중학교 19명, 영양사 2명 등 모두 42명을 확정했다. 올해 1월 중에는 우수 교사 및 스마트교육 교사 영입을 위한 2차 전입자를 선발한다. 3월 개교 예정인 한솔고는 자율형 공립고로 추진된다.
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