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정치권이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총선과 대선이라는 양대 선거를 맞게 됐다. 그만큼 올해 치러지는 양대 선거는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보다 많은 변수를 안게 됐다.
지난해 '안철수 열풍'으로 대변되는 국민적 정치 불신은 기성 정치권의 변화와 쇄신을 촉발시키고 있으며, 통합과 신당 창당 등으로 기존 정치 지형을 완전히 뒤흔들고 있다. 여기에 연말에 터져나온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은 한반도 정세는 물론 정국의 예측 불가능성을 더욱 키우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올 한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과 세종특별자치시의 출범, 내포신도시 조성 및 충남도청 이전 등과 같은 굵직한 현안이 기다리고 있기도 하다. 충청권에서는 이 같은 지역 현안들이 올 한해 양대 선거의 주요 이슈가 될 수 밖에 없다.
우선 현 정부에 대한 불신이 큰 가운데 충청권에서는 특히 세종시 수정안과 과학벨트 입지 선정 논란을 거치며 정부ㆍ여당에 대한 불신의 폭이 더욱 커져 왔다. 다만 여권의 유력 대선 주자로 위기상황에서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호의적 정서가 남아 있다는 점에서 향후 한나라당의 쇄신 방향과 밑그림이 어떻게 그려지느냐가 지역에서의 총선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야권 정당 통합의 경우 당장에 가져 올 시너지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통합과 야권연대를 통해 대안 세력으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집권 여당에 등돌린 민심을 끌어안을 경우, 수도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바람이 충청권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 '안철수 열풍'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그 파괴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자유선진당 입장에서는 충청권을 기반으로 한 제3정당의 존재감 또는 존재이유를 얼마나 부각시키느냐가 관건일 수 있다. 특히나 대선 국면에서 독자노선을 걷기 힘든 현실적 제약 속에서 지역민에게 어떻게 존재감을 각인시키고 지역기반 정당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지가 생존 여부의 가늠자가 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대권 구도의 형성은 총선에까지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 예측된다. 오는 4월 총선이 12월 치러지는 대선과의 '연계투표' 성격을 갖게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각 당 유력 대선 주자의 지지기반이 어떻게 형성되느냐가 지역의 총선 표심을 흔들어 놓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총선과 대선에서는 충청권의 지역 현안과 함께 전반적으로 지난 지방선거를 통해 부각되기 시작한 복지 이슈가 주요한 쟁점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따른 북한의 정세 변화에 따라 남북관계와 안보 이슈 등도 주요하게 등장할 것으로 예견된다.
일반적으로 복지 이슈의 경우 야권 진보 진영이 선점하고 있는 측면이 큰 반면, 안보 정국이 형성될 경우 여권 보수 진영에 유리한 지형이 형성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하지만 최근 여권에서도 복지 정책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천안함과 연평도 포격 사건 등 일련의 안보 정국이 과거와 달리 여권에 유리하게만 작용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이런 이슈들의 폭발력이 어떤 식으로 얼마만큼의 영향력을 미칠지는 아직 미지수다.
또 대권 구도가 어떻게 짜여질지도 아직은 불투명하다. '안철수 열풍'으로 오랜 기간 유지돼 온 '박근혜 대세론'이 흔들리는 형국이지만, 안철수 서울대 교수의 실제 '등판'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로 야권이 안 교수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흡수하고 '박근혜 대세론'을 무너뜨릴만한 대체 주자를 키워낼 수 있느냐 여부가 남은 기간의 선거판도를 뒤흔들 수 있다.
이종섭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