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결핵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치료받을 수 있는 병의원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기때문이다.
2008년 대전지역에서 신규 발생한 결핵환자 수는 1184명에서 2009년 1384명으로 급증했다.
2010년에는 1322명으로 다소 주춤했지만 올해들어 지난 10월까지 1200여명으로 신규 환자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문제는 인구 10만명당 발생 환자수가 2008년 대전이 79.1명으로 인천이나 광주, 울산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2009년에는 10만명당 91.9명, 2010년 87.3명으로 신규 결핵환자 숫자가 증가 추세였다.
충남지역은 비교적 감소 추세이기는 하지만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관리와 비교해보면 감소율은 지극히 낮다.
정부는 결핵을 획기적으로 퇴치하겠다며 '결핵조기퇴치를 위한 2010계획'을 발표하는가 하면 전국적으로 300억여원의 예산을 세워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복지부는 현재 전국평균인 10만명당 90명 발생 현황을 2020년에는 20명까지 낮추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하지만 지역의 경우 제대로 치료와 장기 요양이 가능한 병원 시설이 없어 이같은 계획 실현 여부는 미지수다.
대전 충청권은 1958년 개원한 공주결핵병원에서 결핵 환자 치료를 전담하고 있었지만, 결핵 퇴치로 환자수가 급감하면서 1998년 정신병원으로 기능 전환을 했다.
이후 타 지역의 경우 시립병원이나 의료원 등에서 결핵 전담 치료 기능을 남겨뒀지만, 유독 충청권은 공주 결핵병원이 없어진 이후 사후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충남지역에는 공주와 천안, 홍성 등 의료원이 운영되고 있지만 결핵 환자를 위한 격리 병동이 마련된 의료원은 없다.
대전은 시립 병원이나 공공 의료원등이 없어 결핵 치료 기능을 맡길만한 공공 시설이 없는 형편이다.
충남대학병원이 33개의 격리병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결핵 환자만을 위한 시설이 아닌 만큼 턱없이 부족하다.
대학병원의 호흡기 내과 전문의들은 장기 요양과 복합 치료가 가능한 결핵 병원의 필요성에 입을 모으고 있다.
건양대병원 호흡기내과 권선중 교수는 “슈퍼 결핵이라 불리는 다제내성 환자가 증가추세이고 젊은 층의 결핵환자가 늘고 있지만 인근 지역에 결핵 전문 치료시설이 없어 불편한 것이 사실”이라며 “대학병원에서 장기 치료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치료와 관리를 할 수있는 전담 시설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1월에는 결핵 협회에서 운영하는 복십자 의원이 운영난으로 문을 닫기도 했다.
타 지역의 경우 생활이 어려운 결핵 환자들이 병원 퇴원 후 생활할 수 있는 쉼터와 요양병원 등의 민간 시설도 마련돼 있지만 유독 대전, 충남지역은 이마저도 전무한 상태다.
희망진료소 나백주 소장은 “타 자치단체는 결핵 환자와 신규 환자수가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대전과 충청권의 경우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타 지역과 특정 병원에 기능을 맡길것이 아니라 자치단체 수장들이 나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