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권과 남부권의 격차도 심하고, 특히 농공단지의 생산 기반은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12일 발표한 '충남지역 산업단지의 특징 및 발전방향' 조사에 따르면, 1990년대 중반 이후 수도권 공장의 이전으로 충남지역 산업단지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지역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산업단지 생산이 지역 제조업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1년 26.7%에서 2009년 55.2%로 확대됐으며, 수출은 2000년 33.5%에서 2010년 91.8%로 상승했다.
하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산업단지 내 기업 집적화가 미흡하다.
올해 9월 말 현재 충남에 있는 공장은 6655개지만, 이 중 산업단지에 입주한 공장은 21.8%(1451개)에 불과하다.
충남의 산업단지 입주율은 제주(9.3%)와 충북(18.6%)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한은 김용구 조사역은 “단지 내에 동종업종 기업을 집중 유치해 산업생태군을 형성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역 간 격차도 심화됐다.
9월 말 현재 산업단지 입주업체 중 55.4%(804개)가 북부권의 4개 지역의 산업단지에 집중돼 있다.
또 북부권에 대규모 국가 및 일반산업단지가 주로 위치해 이들 산업단지의 생산이 충남지역 전체 산업단지 생산의 76.2%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남부권은 소규모 농공단지 위주로 조성돼 있어 북부권과 규모 및 생산에서 격차가 크고 더욱 확대되는 추세다.
내포 신도시와 세종시 등이 입주하는 남부권 입지에 맞춰 해당 지역을 지원하는 서비스업이나 첨단정보통신산업 등을 전략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열악한 농공단지의 생산활동 기반도 문제로 꼽혔다.
현재 농공단지는 모두 90개, 지정면적은 1406만7000㎡로, 16개 시·도 중 가장 규모가 크다.
그러나 대부분 조성된 지 오래돼 생산 지원시설이 노후화되고 편의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 주로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외곽지역에 있어 정주 여건이 열악해 기업의 인력 유치도 어렵다.
가동 중인 농공단지 71개 중 입주공장이 5개 이하인 소규모 단지가 전체의 43.7%(31개)를 차지해 기업 집적에 따른 시너지효과가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 역시 문제다.
한은 관계자는 “생산지원 시설을 재정비해 기업유치를 확대하고 지역민 취업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단지 특성과 입주기업의 기술수준을 고려해 수요자 중심의 산학연관 연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