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지구가 들어설 지역별로 특성에 맞는 활성화 방안을 세워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천안은 디스플레이 메카를 노리고 있고 충북은 기능지구에 융합과학특화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전제는 두 가지다. 기존의 지역 산업기반을 잘 활용해야 한다는 점과 거점지구, 기능지구, 연구단이 유기적으로 함께 움직여야 한다는 점이다.
가령 천안의 경우 나노 응용부품 분야는 거점지구인 대전과 연계하고, 메디-바이오 분야는 기능지구인 오송·오창지구와 연계한 특화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연구 성과의 산업화는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를 분리해 이뤄낼 수 없다는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거점지구는 구조상 기능지구에 상당부분 의존해야 하는 등 상호보완적인 관계다. 거점지구 없는 기능지구도 생각할 수 없다. 그러므로 대전과 천안, 충북, 세종시가 행정구역 경계를 넘어 긴밀히 접촉하고 협력해야 한다. 아울러 비즈니스 환경 조성, 즉 연구성과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려면 거점지구에 버금가는 정부 지원이 절대적이다.
또한 최종안이 확정되기 이전부터 지역 간 협력과 조율이 선행돼야 한다. 기능지구는 연구성과의 비즈니스 연계에 치중해 실질적인 결실을 얻기 위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과학벨트의 공간적 기능 극대화도 가능하다. 이것이 잘못되면 국내 R&D 체질을 전환하는 과학벨트의 또 다른 임무도 요원해지게 마련이다. 거점지구와 기능지구 간 힘을 모아야 하는 이유다.
일부에서 우려하는 대로 기능지구가 거점지구의 들러리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 기능지구의 지원책이 부실하면 그렇게 될 수도 있다. 서로 원활히 연계돼야 과학벨트가 조기 활성화되고 궁극적으로 연구성과의 시너지도 발휘할 수 있다. 우선 천안, 청원, 세종시 등의 기능지구 마스터플랜에서 지역이 요구하는 사항이 과학벨트 시행계획에 제대로 반영되는 것이 급선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