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대전자원봉사연합회는 봉사자 1000여 명과 노블레스 오블리주 협약을 맺은 기업 등과 함께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할 김치를 담그는 '김치 대봉사'를 펼쳤다. 이날 담근 김치만 5만㎏이나 된다. 세관, KAIST 외국유학생 등 단체 기관 민간의 사랑의 김치담그기 행사도 줄을 잇고 있다. 훈훈하고 고마운 일이다. 시름에 빠진 농민도 돕고 어려운 이웃도 돕는 일석이조다. 충남도는 '김장 3포기 더 담그기 운동'을 펴고 있다. 김치 소비를 줄이는 세태지만 농민들의 고통을 헤아려 많은 충청인들이 동참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문제는 이 같은 소비 운동이 농가와 농민들에게 위안을 줄 수는 있겠지만 근원적인 처방은 될 수 없다는 점이다. 지난해 이맘때 배추 소매가격이 포기당 1만원을 넘어서는 '김치대란'을 겪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불과 한해 사이에 '금값'에서 '껌값'으로 널뛰기를 하는 배춧값을 보고 있자면 과연 정부가 농산물 수급을 안정시키려는 의지가 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장을 살펴 효과적인 대책을 내놓을 때가 됐다.
배춧값 폭락사태는 이미 예고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해 배춧값 폭등에 덴 정부가 파종을 독려하고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긴급 수입한 중국 배추가 시장을 휘저으면서 폭락사태를 가져온 것이다. 모자라면 수입하고 남으면 돈 주고 사서 폐기하는 대증요법으론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킬 수 없다. 농산물의 수급조절이 안정적으로 이뤄져 폭락이나 폭등을 막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나가는 게 시급하다.
수급 조절을 못해 가격이 널뛰는 것을 언제까지 방치할 참인가. 농협 계약물량을 늘리든지 배추 유통의 80%를 떠맡는 산지유통인들을 사업대상자로 활용해 유통경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체계적인 수요 예측 시스템을 정비하고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노력이 없는 한 농산물값 널뛰기는 계속 반복될 수밖에 없다. 재배농민들에게 정확한 수요 정보를 제공해야 함은 물론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