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하반기 금융당국의 억제 방침으로 한 때 주춤했던 가계대출이 또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금융권이 파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종합금융회사, 신탁회사,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 등 비은행권의 총 대출금 대비 가계대출금 비중은 51.7%를 기록했다.
비은행권 총대출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이는 2008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고치다.
6월 말 현재 비은행권의 대출금 잔액은 335조6000억원이다.
이 중 가계대출은 173조6000억원으로, 산업대출(162조원, 48.3%)을 넘어섰다.
비은행권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올해 1분기 16.1%, 2분기 16.3% 증가했다.
3분기에도 16%대의 증가율을 이어가면 지난 8월 말 잔액이 178조2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의 경우 가계대출보다 산업대출 비중이 높다.
6월 말 현재 은행의 총 대출금은 1028조8000억원이다. 산업대출이 584조5000억원(56.8%), 가계대출 444조3000억원(43.2%)으로, 가계대출 비중이 작다.
하지만, 8~9월 '반짝' 주춤했던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돌아서고 있다. 하나와 신한 등 5대 시중은행의 10월 말 대출 잔액은 690조7052억원으로, 9월 말보다 6조2542억원(0.9%) 늘어났다.
이 중 가계대출은 1조7451억원으로, 9월 은행권 전체의 가계대출 증가액 6235억원과 비교해 3배 가까이 늘어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비은행권 가계대출 비중이 높다는 건, 서민이 금리가 높은 대출로 쏠려 가계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라며 “금융당국의 가계부실 대책이 자칫 역효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