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여론의 질타를 모면하기 위한 것으로도, 수사권 조정과 관련한 과민반응으로 비쳐져서도 안 될 것이다. 현재 '단체 구성 및 활동 요소'에 해당돼 경찰 관리 대상에 오른 조직폭력배는 대전 9개파 138명, 충남 17개파 293명, 충북 6개파 247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충남은 숫자상 변동이 없고, 대전은 상대적으로 적다지만 3년 사이 33.9%나 증가했다.
지역에서 이처럼 조직과 조직원이 증가한 것은 일회적 검거활동이 아닌 지속적인 집중단속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조폭 활동이 비교적 왕성하지 않다고 안심할 일이 아니다. 최근에도 이권 개입 사례나 각종 범죄를 경험했고, 지난해 대전 유성 도심에서 시비 끝에 상대 조직원을 승용차로 치어 죽게 한 사건은 아직 기억에 생생하다.
지난 6월부터 3개월 간 전국에서 조폭 1343명을 검거하고 257명을 구속했다. 얼마 전 천안에서 상가 매각과 관련해 행사한 조직폭력배가 검거됐고, 대전에서는 조직을 탈퇴한 조직원을 감금 폭행한 조직원 10여명이 검거되기도 됐다. 특히 이번과 같은 경조사 등에 대한 동향 파악을 토대로 가시적인 범행을 원천 봉쇄해야 한다.
인천 장례식장 집단 폭력 사건의 흉기 난동 장본인들은 경찰의 조폭 관리 대상에 오른 대상이었다. 조폭 관리 체계의 허점이 없어야 함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통상적인 활동은 물론 조직 재건, 조직간 연합, 이권 개입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느슨한 대응은 조직폭력이 건재하는 온상이 될 뿐이다.
이번처럼 지방청 수사과장 화상회의를 수시로 열어 공조를 강화하고, 지방청 강력계 및 광역수사대와 일선서는 조직 폭력을 근절한다는 특단의 의지를 보여야 한다. 단속의 궁극적 초점은 일시적 차단이 아닌 와해에 맞춰져야 할 것이다. 활동성이 강한 조직에 미온 대처한 것이 인천 조직폭력배 난투극의 뼈아픈 교훈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