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우유 인상 도미노 시작되나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서울우유 인상 도미노 시작되나

타 업체도 인상 예고… 빵·커피음료 등 시기 저울질

  • 승인 2011-10-24 18:25
  • 신문게재 2011-10-25 8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서울 우유 가격이 24일부터 인상되면서 동네 제과점을 비롯해 커피전문점등이 인상 시기를 놓고 고심에 빠지는 등 '우유물가' 상승이 시작됐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는 24일부터 흰 우유 출고가를 1ℓ 당 138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24일부터 대형마트에서는 종전 2200원이던 1ℓ흰우유는 2300원에 판매중이다. 서울우유에 이어 남양유업, 매일유업, 빙그레도 우유 가격을 평균 9.5% 올릴 방침이다.

우유값 인상이 러시를 이루면서 우유를 주원료로 하는 과자, 빵, 커피 음류의 인상도 예고되고 있다.

하반기 '우유물가' 상승이 서민물가를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미 커피전문점 할리스커피는 지난 17일부터 최고 400원의 가격 인상을 실시했다. 할리스커피 측은 이번 인상이 우유값 인상과는 무관하게 이뤄졌다고 밝히고는 있지만, 우유값 인상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시점에서 단행됐다는 점에서 커피전문점의 연쇄 가격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밀가루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올초부터 9~15%가량 인상됐던 과자류의 인상도 예고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지난 3월부터 4~5차례에 걸쳐 주요 가격의 품목을 8~9%가량 인상한 뚜레쥬르와 파리바케트 등 유명 제과 체인들 역시 또 한차례 가격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커피와 제과 등 유명 프랜차이즈 업체의 가격 상승이 계속될 경우 동네 제과점과 커피전문점의 가격 인상도 줄을 이을 것으로 보인다. 소규모상인들의 가격 인상분을 감수하며 종전 가격으로 판매할수 있는 재정적 여력이 프랜차이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우유값 인상으로 시작된 물가 상승이 소비자 물가 전역으로 확산될 조짐이다.

주부 최정희(41·중구 목동)씨는 “우유값이 100원 오른게 문제가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다른 물품들의 가격이 연쇄적으로 오를 것이라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오희룡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5.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3.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