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2=대전의 노숙자 쉼터에서 생활하던 황모씨. 결핵에 감염돼 결핵 병원에서 입원치료한 그는 타인에게 감염시킬 수 있는 기간인 2주 이상 치료를 받고 쉼터에 재입소했다. 감염에 대한 우려가 없었지만, 함께 생활하던 노숙인들이 대거 반발하고 나섰다. 동료들은 황씨에게 한 여름에 마스크를 쓰도록 하고, 다른 노숙인들이 쉼터를 나가겠다며 민원이 이어졌다. 그는 최근 그곳에 머물 수 없어 목포 결핵병원에 재입원해 치료중이다.
노숙자들의 결핵 관리가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 결핵 발병에 취약하고 발견했다하더라도 관리가 쉽지 않아 '감염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낳고 있다.
올해 4월 정부는 OECD 국가 중 결핵 사망률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예산을 큰폭으로 늘리고 대대적인 결핵 관리에 돌입했다. 결핵 환자 뿐만 아니라 접촉자들까지 검진을 받도록 하는 한편 결핵이 발견되면 입원 치료를 받는 입원비 본인부담금도 전액 지원키로 했다.
문제는 노숙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결핵 관리가 어렵다는 것.
정부 지침상 입원비를 지원할 수 있는 기준이 있고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지원 근거가 없어 슈퍼 결핵균 보균자라 하더라도 길거리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 또 중부권역에는 결핵 병원이 없고, 목포·마산 등 남부권에만 결핵병원이 있어 지역 환자들이 이동을 꺼리는 경우도 상당수다.
결핵은 6개월 이상 끊임없이 약을 복용해야 하는 만큼 집중 관리가 필요하지만 알코올중독 등이 있는 노숙자들은 취약할 수밖에 없다.
노숙자 쉼터 등도 공동 생활 구역이여서 막상 결핵균에 감염돼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은 생활할 공간이 없다. 길거리를 방황하다 약 복용이 소홀해지면 다재내성으로 변종되는 사례도 부지기수다.
최근 서울역 인근에 결핵치료센터가 문을 열었지만 지방까지 손이 미치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지역의 노숙자 쉼터 관계자는 “입원을 시키거나 거주지 마련을 위한 근거가 없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전염 확산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